다음
이전
차례
-  XFree86 4.0 혹은 그 이상의 버전과 함께 사용되는 
xterm("
./configure --enable-
wide-chars; make" 명령으로 컴파일하고 xterm을 실행할 때 명령 라
인 옵션 -u8을 사용하라). 
- NEW: 
Yudit 2.0은 
Gaspar Sinai가 개발한 비 상용 X11 유니코드 에디터이다.
 
- 
Thomas Wolff가 
개발한 
Mined 9 8은 UTF-8 사용이 가능한 텍스트 에디터이다.
 
- 
Cooledit는 3.15.0버전 이후로 UT
F-8과 UCS를 지원한다.
 
- NEW: 
QEmacs는 UTF-8 터미널에서 사용하기 위한 작은 에
디터이다.
 
- 346버전 이후의 
less 는 UTF-8을 지원한다.
 
- 
C-Kermit 7.0 은 전송(transfer), 터미널 및 파일 문자셋에 관해 UTF-8을 지원한다.
 
- 
Perl은 "use utf8;" 옵션으로 요
청했을 경우에 버전 5.6부터 몇몇 
핵심적인 UTF-8을 지원(core UTF-8 support)한다. 이것은 문자
열이 UTF-8로 저장되고(그리고 UTF-8로 태그화 되며) length() 함수가 바이
트 수 대신에 문자들을 반환함을 의미한다. UTF-8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많
은 연구들이 지금 순간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perl-unicode@perl.org 메일링 리스트를 보라). 사
용 가능한 기능과 제한되는 기능을 보려면 
perldoc perlunicode
와 perldoc utf8을 읽어보라. 
- 
Python 1.6은 현재 
유니코드 지원을 완성하고 있다.
 
- 
Tcl/Tk는 버전 8.1부터 
유니코드를 기본  문자셋으로 사용하여 가동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Tk의 폰트 처리 코드
에는 여전히 
버그가 있어서 16비트 *-iso10646-1 폰트를 유니코드 문자열을 디
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없다.
 
- 
Exmh는 MH 메일 시스템을 
위한 GUI 프런트엔드이며 만약 Tcl/Tk 8.1 이상 버전에서 사용되는 경우 버
전 2.1.1 이후부터 유니코드를 지원한다.
 
- 2000-03-06 릴리즈 이후부터 
CLISP는 UTF-8을 포함한 모든 멀티-바이트 인코딩과 
wcwidth() 
및 wcswidth()함수와 비교할 만한 API를 가진 char-wid
th 및 string-width 함수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 
Sam은 vi랑 비슷한 Plan9 UTF-8 에디터이며, 리눅스와 Win32에서 사용할 
수 있다.(
Plan9은 
문자 인코딩으로써 UTF-8로 완벽하게 전환되는(switchedc ompletely to UTF-8 as its character encoding) 최초의 운영체제였다)
 
- 
Matty Farrow가
개발한 
9term
은 Plan9 운영체제의 유니코드/UTF-8용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유닉스 포트의
일종이다.
 
- 
Wily
는 Plan9의 Acme 에디터를 유닉스용으로 구현한 것이다.
 
- 
ucm-0.1은 
Juliusz ChroboczekJuliu
sz Chroboczek이 개발한 유니코드 문자 지도이다. 이것은 유니코드 문자를
선택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 붙여넣을 수 있게 하는 작은 도구이다.
 
- 
Serge Winitzki
가 개발한 
txtbdf2ps는 BDF 픽셀 폰트들을 사용하여 UTF-8 plaintext를 포스트스
크립트로 출력하는 일종의 Perl 스크립트이다.
 
- 
FIGlet 2.2 또는 그 이후의 버전은 블록 그래픽 요소(block graphics 
elements)로써 모노스페이스 문자(monospaced characters)를 사용하여 큰 글자로 배
너 텍스트(banner text)를 출력하는 도구의 일종이다.
 
- 
Edmund Grimley Evans는 UCS 폰트
지원을 사용하여 
BOGL
리눅스 프레임버터 그래픽을 확장하였다. 또한 UCS 폰트 지원을 이용하여 
bterm이라 불리는 간단한 UTF-8 콘솔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제
작하였다. 
다음
이전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