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윈도우의 글꼴을 가져다가 다른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윈도우즈용 한글글꼴을 사용하기 보다는 [공개한글글꼴]을 쓰시기 바랍니다.
== System wide한 설치법 ==
 1. 윈도우즈에 있는 gulim.ttc batang.ttc를 `/usr/local/share/fonts/truetype`으로 복사
 1. `fc-cache` 실행
 1. 데스크탑 -> 환경 설정 -> 글꼴에서 굴림,바탕,궁서,돋움 폰트가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GnomeKorea:FontConfig``을 참고하여 영문 글꼴과 매칭시키는 것이 좋을것이다.

== 개인 사용자 설치법 ==
 1. gulim.ttc, batang.ttc등을 ~/.fonts 디렉토리에 복사 (~/.fonts 디렉토리가 없으면 만들어줍니다)
 1. `fc-cache` 실행

==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사용하기 ==
한글판 인터넷 익스플로러에는 {{{GulimChe.ttf}}}가 내장되어 있다고 하며, 한글 Global IME에도 {{{GulimChe}}}가 내장되어 있고, 오피스2000용 옛한글 패키지에 {{{NewGulim}}}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 굴림체 받기 ===
영문판 IE6에서 한글 랭귀지 팩만을 받아서 압축을 풀면 굴림체가 들어있다.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ie6sp1/finrel/6_sp1/W98NT42KMeXP/EN-US/IELPKKO.CAB 한글랭귀지 팩 다운받기]
{{{
$ cabextract -L -F gulimche.ttf IELPKKO.CAB
}}}
=== 새굴림체 받기 ===
오피스 2000용 옛한글 팩을 받으면 그 속에 Ogulim.ttf, Ngulim.ttf가 들어있다. Ngulim.ttf가 새굴림이다. 참고로 새굴림체에는 매우 많은 한자가 들어있을뿐 아니라 많은 옛한글도 들어있다. 따라서 글꼴 크기도 크다.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office2000pro/OHFonts/20000/WIN98MeXP/KO/OHFonts.exe 옛한글 팩 다운받기] 약 15MB

역시 KLE:CabExtract``로 압축을 풀어주는데, OHFonts.exe를 풀면 OHFonts.msi가 나오고, 이걸 다시 풀어주면 두 글꼴이 나온다.
----
Category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