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OfContents]]

== 응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목록 및 검색 ==
=== 목록 모음 ===
 * {{{윈도우에 상응하는 리눅스 프로그램 1/4}}}
  http://www.suse.or.kr/bbs/board.php?bo_table=tip&wr_id=1519&page=11

 * {{{윈도우에 상응하는 리눅스 프로그램 2/4}}}
  http://www.suse.or.kr/bbs/board.php?bo_table=tip&wr_id=1521&page=10

 * {{{윈도우에 상응하는 리눅스 프로그램 3/4}}}
  http://www.suse.or.kr/bbs/board.php?bo_table=tip&wr_id=1522&page=10

 * {{{윈도우에 상응하는 리눅스 프로그램 4/4}}}
  http://www.suse.or.kr/bbs/board.php?bo_table=tip&wr_id=1523&page=10

 * {{{The OSSwin project: Open Source for Windows!}}}
  http://osswin.sourceforge.net/

 * {{{The Linux Alternative Project}}}
  http://www.linuxalt.com/

 * {{{Linux software equivalent to Windows software}}}
  http://wiki.linuxquestions.org/wiki/Linux_software_equivalent_to_Windows_software

 * {{{Find Open Source Alternatives to commercial software}}}
  http://www.osalt.com/

 * {{{Linux App Finder}}}
  http://linuxappfinder.com/

 * {{{오픈소스 정보 공유}}}
  http://www.opensource.or.kr/

=== 검색 ===
 * {{{Free Software Directory}}}
  http://directory.fsf.org/

 * {{{Savannah.GNU.org}}}
  http://savannah.gnu.org/

 * {{{Savannah.NonGNU.org}}}
  http://savannah.nongnu.org/

 * {{{Gna!}}}
  https://gna.org/

 * {{{SourceForge.net}}}
  http://sourceforge.net/

 * {{{freshmeat.net}}}
  http://freshmeat.net/

 * {{{GnomeFiles - GNOME-GTK+ Software Repository}}}
  http://www.gnomefiles.org/

 * {{{Let's build the Desktop of the future}}}
  http://www.opendesktop.org/

  * {{{GTK+ Applications Repository}}}
   http://www.gtk-apps.org/
  * {{{Applications for your KDE-Desktop}}}
   http://www.kde-apps.org/
  * {{{Free Qt Applications}}}
   http://www.qt-apps.org/
  * {{{Proprietary Qt Applications}}}
   http://www.qt-prop.org/
  * {{{Command Line Interface Apps}}}
   http://www.cli-apps.org/
  * {{{Applicatons for the Maemo platform}}}
   http://www.maemo-apps.org/
  * {{{Free Java Applications}}}
   http://www.java-apps.org/
  * {{{Free eyeOS Applications}}}
   http://www.eyeos-apps.org/
  * {{{Apps and Community for Android Phones}}}
   http://www.android-community.org/

== 쉘(shell) ==
 * [wiki:LinuxdocSgml/Path Path mini HOWTO] (고영훈)
  path 환경 변수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찾아내는 방법.

 * [wiki:LinuxdocSgml/Bash-Prompt-HOWTO Bash Prompt HOWTO] (김흥수)
  리눅스에?주로 사용되는 Bash 쉘에서 프롬프트를 마음대로 설정하는 방법

 * [http://wiki.kldp.org/KoreanDoc/Tcsh-KLDP Tcsh 설명]
  Tcsh 를 사용하는 방법

 * [wiki:LinuxdocSgml/Bash-Prompt-HOWTO 배쉬(Bash) 프롬프트 HOWTO]

=== 쉘 스크립트 ===
 * [wiki:DocbookSgml/Bash-Prog-Intro-HOWTO Bash Programming Intro HOWTO] (전혜진)
  Bash를 이용하여 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 소개

 * [http://tldp.org/LDP/abs/html/ Advanced Bash-Scripting Guide] - Bash 스크립팅에 대한 튜토리얼 및 예제
  * 번역 : [http://kldp.org/HOWTO/html/Adv-Bash-Scr-HOWTO/ 고급 Bash 스크립팅 가이드] (차현진)

 * [wiki:DocbookSgml/Shell_Programming-TRANS Shell Programming] (윤상배)
  쉘 스크립트 사용법 및 스크립트 만들기

 * ShellProgrammingTutorial (위경섭)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프로그래밍 안내

=== GNU Screen ===
- 대부분의 배포판 저장소에 있습니다.

 * 공식 홈페이지
  http://www.gnu.org/software/screen/

 * 참고사이트
  http://en.wikipedia.org/wiki/GNU_Screen

 * screen 기본 사용법 - 1
  http://kldp.org/node/18744
 * screen 기본 사용법 - 2
  http://kldp.org/node/18767

=== File Manager ===
 * Midnight Commander 간략 메뉴얼[[br]]
 http://www.suselinux.co.kr/bbs/board.php?bo_table=tip&wr_id=2521

== 에디터 및 텍스트 유틸리티 ==
=== Emacs ===
 * [wiki:XEmacs-HOWTO] (이재홍 - [pyrasis])
  초보자를 위한 !XEmacs 사용법 
 * [wiki:LinuxdocSgml/Emacs-Beginner-HOWTO Emacs Beginner HOWTO] (이태철)
  Emacs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
 * EmacsGdbEtagsCscope ([http://www.cinsk.org/ 신성국])
  Emacs와 Gdb, Etags, Cscope를 함께 쓰는 법을 간단히 소개. Emacs를 전혀 모르는 초보자용. 
 * [wiki:LinuxdocSgml/Emacs-KLDP Emacs 강좌] (이휘재, 정순철)
  Emacs 에디터 사용법 강좌.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 [wiki:EmacsTramp Emacs Tramp 사용하기]
  Emacs에서 '''안전하게''' 원격 파일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 [wiki:EmacsRubyMode Emacs Ruby Mode] (김용욱 - [CN])
  Emacs에서 루비 언어을 사용하기 위한 간단한 세팅과정을 설명합니다.
 * [http://steve.yegge.googlepages.com/effective-emacs 10 Specific Ways to Improve Your Productivity With Emacs]
 * [http://gregorygrubbs.com/emacs/10-tips-emacs-windows/ 10 Tips for Powerful Emacs on Windows]
 * [http://jmjeong.com/index.php?display=Emacs/OrgMode Org-mode Tutorial 번역]
 * How to deal with Emacs key bindings - 이맥스 키바인딩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음
  * [http://git.savannah.gnu.org/gitweb/?p=emacs-tiny-tools.git;a=blob_plain;f=doc/html/keybindings/index-body.html;hb=devel link1]
  * [http://git.savannah.gnu.org/gitweb/?p=emacs-tiny-tools.git;a=blob_plain;f=doc/html/emacs-keys-body.html;hb=master link2]
 * [https://peepcode.com/system/uploads/2008/emacs-movement.png emacs movement 그림](출처 : http://peepcode.com/products/meet-emacs)


 * [wiki:EmacsTinyTips Emacs 팁 모음] 
  내용은 작지만 알아두면 매우 유용한 Emacs 팁들.
 * [http://kltp.kldp.org/stories.php?topic=26 KLTP-Emacs]
  KLTP에 있는 유용한 Emacs 팁 모음
 * [http://infolab.stanford.edu/~manku/dotemacs.html Emacs Tips n Tricks for Everybody]
  (fset 'yes-or-no-p 'y-or-n-p) 같은 꽤 유용한 팁을 볼수 있습니다.


 * [http://www.emacswiki.org/ Emacs Wiki]
  Emacs를 쓰는 법과 여러 ELisp package에 대하여 소개하는 Wiki.(자료도 많고 활발함)
 * [http://emacs.kldp.org/ Emacs-KR]
  Emacs Wiki와 비슷한 한국 위키
 * [http://xahlee.org/emacs/emacs.html Xah's Emacs Tutorial]
  나름 잘 정리된 영문 문서
 * [http://emacs-fu.blogspot.com/ emacs-fu]
  emacs 고급기능 설명이 많은 블로그
 * [http://kldp.org/node/93890 Emacs 세미나 자료 (OpenOffice)]
  신성국님이 만드신 자료
 * [http://refcards.com/refcard/gnu-emacs-gildeas GNU Emacs Reference Card] ([http://refcards.com/docs/gildeas/gnu-emacs/emacs-refcard-a4.pdf DirectLink])
  명령어&단축키가 정리된 카드(여백없이 프린트해야 정확히 3등분 됩니다.)
 * [http://wiki.kldp.org/KoreanDoc/Emacs-key-KLDP.zip Emacs 레퍼런스] (권세웅)
  Emacs 에디터 명령어 정리. 매우 강력하고 방대한 Emacs 에 친숙해지고 싶으면 이 자료를 이용해 보십시오.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s165509(VS.80).aspx Visual Studio Emacs 기본 바로 가기 키]
  Visual Studio에서 Emacs 키바인딩 사용 (완벽한 것 같지는 않음)
 * [http://wiki.kldp.org/KoreanDoc/Hanemacs-KLDP Hanemacs]
  Hanemacs 에디터 강좌. 최신 버전의 이맥스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http://www.gnu.org/software/emacs/tour/ A Guided Tour of Emacs]
  공식 GNU Emacs 홈페이지의 Emacs 전반에 대해 소개해 주는 곳  
 * [http://emacs.kldp.net/~jay/emacs-art/intro.html EMACS의 소개]

 * [http://www.gnu.org/software/emacs Emacs Homepage]
  공식 GNU Emacs 홈페이지.
 * [http://www.xemacs.org/ XEmacs Homepage]
  공식 XEmacs 홈페이지.

=== Vi, Vim ===
 * [wiki:DocbookSgml/Vim-KLDP Vi,Vim 활용] (성시창, 송호영)
  VimEditor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 강좌

 * [http://wiki.kldp.org/KoreanDoc/html/Vim_Guide-KLDP/Vim_Guide-KLDP.html Vim Guide] (이호석)
  VimEditor에 대한 자세한 안내

 * [http://wiki.kldp.org/KoreanDoc/VI-key-KLDP.zip Vi 레퍼런스 카드] (권세웅)
  ViEditor 에디터에 관한 요점 정리. 인쇄하면 카드가 됩니다.

 * [http://wiki.kldp.org/KoreanDoc/VI-miniRef-KLDP Vi 미니 레퍼런스] (유형목)
  ViEditor 에디터에 관한 간략 설명

 * Vi/Vim 단축키 모음
  http://kldp.org/node/102947

 * ViEditorTips
  ViEditor 사용에 관련된 팁들 모음

 * VimCscopeTutorial
  Vim 내장 Cscope 지원과 검색을 더 편리하게 해주는 맵에 대한 소개

 * ViEditor/QuickStart

 * VimTutorKo
  VimEditor 상에서 볼 수 있는 간단한 설명서

 * VimFold
  VimEditor의 Fold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

 * VimRc
  VimEditor의 사용자 설정 파일 예제

 * cygwin용 vimrc와 내용 설명
  http://kldp.org/node/35701

=== 텍스트 처리 유틸리티 ===
 * [wiki:DocbookSgml/Sed-TRANS Sed 스트림 에디터] (최영덕)
  sed의 사용법을 설명한 매뉴얼

 * [wiki:Awk]
  Awk의 사용법을 설명한 매뉴얼
== 문서 조판 ==
=== TeX, LaTeX ===
 * [http://wiki.kldp.org/KoreanDoc/Hangul_TeX_Install-KLDP Hangul TeX Install KLDP] (임택균)
  Redhat 6.0기반 리눅스 시스템의 teTeX환경에서 한글을 사용할 수 있는 TeX 시스템인 hTeXp와 hLaTeXp을 설치하는 방법

 * [wiki:LinuxdocSgml/TeTeX-HOWTO teTeX HOWTO] (양기동)
  전통적인 리눅스/유닉스의 문서조판 시스템 TeX과 laTeX을 구현한 teTeX 에 관한 설명

 * [http://wiki.kldp.org/KoreanDoc/html/CJK-Lyx-KLDP/CJK-Lyx-KLDP.html CJK Lyx]   (박진철)      
  TeX기반의 워드프로세서인 Lyx의 한글화 버전 소개, 설치 방법
=== Docbook ===
 * [wiki:DocbookSgml/DocBook_Install-KLDP DocBook Install] (정하녕)
  윈도우즈 및 리눅스 환경에서 DocBook을 사용하기 위한 안내

 * [http://wiki.kldp.org/KoreanDoc/html/Using_Docbook-KLDP/ DocBook으로 글 쓰기] (박용주)
  Docbook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

=== Linuxdoc SGML ===
 * [http://wiki.kldp.org/KoreanDoc/SGML_Reference.jpg SGML Reference 카드] (임종균,  윤형렬)
  SGML 레퍼런스 카드. SGML을 이용한 문서 작성시 쉽게 참고하기 좋습니다.

 * [http://wiki.kldp.org/KoreanDoc/html/Translation-KLDP/Translation-KLDP.html 한글 번역 미니 하우투] (임종균)
  리눅스/오픈소스에 기여하기 위해 번역 작업에 뛰어들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 [wiki:LinuxdocSgml/SGML-KLDP SGML-KLDP] (심상현)
  LDP, KLDP 표준문서 포맷인 sgml에 대한 설명과 sgml-tools의 사용법

== 그래픽 ==
=== Inkscape ===
 - svg 파일을 다룰 수 있는 최고의 벡터 드로잉 툴,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와 비슷한 부류의 소프트웨어

 * 공식 홈페이지 
  http://www.inkscape.org/

 * Inkscape 동영상 강좌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1.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2.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3.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4.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5.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6.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7.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8.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9.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10.htm
  * http://www.hotbutteredit.com/video/software/inkscape/inkscape_part11.htm

=== GIMP ===
 - 포토샵(photoshop)과 비슷한 부류의 소프트웨어

 * 공식 홈페이지
  http://www.gimp.org/

 * 김프코리아
  http://gimp.kr/

 * GIMPShop - GIMP를 포토샵과 비슷하도록 수정한 프로그램
  http://www.gimpshop.com/

=== Blender ===
 - 3DMAX, MAYA 와 비슷한 부류의 소프트웨어

 * 공식 홈페이지
  http://www.blender.org/

=== 웹 이미지 생성기 ===
 * 로고 및 버튼
  http://ko.cooltext.com/

 * 배너
  http://banner.kldp.org/ [[br]]
  http://www.lucazappa.com/brilliantMaker/buttonImage.php

==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
=== 웹브라우저 ===
 * [wiki:LinuxdocSgml/Public-Web-Browser Public Web Browser mini HOWTO] (이호연)
  웹 브라우저에 관한 간략한 설명
 * [MozillaFirefox]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
=== IRC ===
 * [wiki:LinuxdocSgml/IRC IRC mini HOWTO] (이호연, 김정중)
  IRC의 기초와 IRC를 리눅스에서 이용하는 방법

 * [http://wiki.kldp.org/KoreanDoc/Eggdrop_Install-KLDP Eggdrop] (Xandy)
  IRC 봇 Eggdrop 설치 방법

=== 메신저 ===
 * [Nateon]

=== 기타 ===
 * [wiki:LinuxdocSgml/Ftp Ftp] (이호연)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ftp 클라이언트 & 서버에 대한 간략한 설명

 * [wiki:DocbookSgml/NetMeeting-HOWTO NetMeeting HOWTO] (고지훈)
  마이크로소프트 넷미팅을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방법

 * [wiki:Backup-Hotmail-Using-Gotmail] (김정수)
  Hotmail 계정을 리눅스 클라이언트에서 백업하는 방법

== 백업 미러링 ==
 * [http://wiki.kldp.org/KoreanDoc/Rsync-KLDP rsync 설정] (문태준)
  호스트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rsync 설정, 사용법

== 수치해석 ==
 * [http://wiki.kldp.org/KoreanDoc/html/GnuPlot-KLDP/ GnuPlot] (신동원)
  gnuplot을 사용하기 위한 간략한 설명서입니다

 * [Scilab]
  Free Scientific Software Package

 * GnucashTutorial   [http://www.cinsk.org/ 신성국] 
  개인 회계(가계부) 프로그램 사용법입니다.

 *  [http://maxima.sourceforge.net/ Maxima] [http://sajangyang.blogspot.com/ 양사장]
     1.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04/minimal-maxima-korean-translation.html 맥시마 맛뵈기]입니다.
     2.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05/introduction-to-maxima.html 맥시마 길라잡이]입니다.
     3. 맥시마의 GUI Frontend인  [http://wxmaxima.sourceforge.net/wiki/index.php/Tutorials wxMaxima]에 대한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05/10-minute-wxmaxima-tutorial-korean-10.html 짧은 소개]입니다.
== 통계 ==

 * [[R]]

== 게임 ==
 * [http://wiki.kldp.org/Translations/html/TinTin-KLDP/TinTin-KLDP.html 머드클라이언트 TinTin 사용법]   (지윤찬)     
  머드 플레이를 돕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틴틴 설명서

 * [TinTinPpTips]
  머드 클라이언트 틴틴++ 팁들

 * [wiki:DocbookSgml/NetHack_Guide-TRANS NetHack Guide] (박재호)
  Rogue-like게임의 한 종류인 NetHack에 관한 안내 

 * [http://wiki.kldp.org/Translations/html/Gnobots-KLDP/Gnobots-KLDP.html Gnobot]   (노우경)      
  GNOME 로봇 게임 설명 

 * [http://wiki.kldp.org/Translations/html/Gnobots-KLDP/Gnobots-KLDP.html XJig 안내]   (노우경)
  조각 맞추기 퍼즐 게임인 xjig에 대한 안내 

 * [http://wiki.kldp.org/Translations/html/KSokoban/ksokoban.html ksokoban]   (노우경)
  나무 상자를 밀어넣는 퍼즐 게임의 일종인 소코반 게임 설명 

 * [wiki:Starcraft-Playing-HOWTO Wine으로 Starcraft하기] (양정석)
  Wine으로 Starcraft를 하는 절차를 간단히 설명

 * [wiki:stratagus stratagus를 이용하여 워크래프트2 즐기기] (작은상자)
  DOS버전의 워크래프트2의 자료를 추출하여 리눅스에서 즐기기

 * 리눅스에서 와우(월드오브워크래프트) 하는법!!
  http://ubuntu.or.kr/viewtopic.php?f=4&t=5917

 * [wiki:GNUGo GNU Go]
  리눅스로 바둑두기

 * Tux의 비밀 - 리눅스에서 게임하기
  http://www.linuxfocus.org/Korean/November1999/article118.html

 * 추억의 게임들
  http://kldp.org/node/94413

 * 리눅스용 레이싱 게임
  http://kldp.org/node/98964

 * 속도감을 중시한 슈팅 게임, Torus Trooper
  http://kldp.org/node/59866

 * Tremulous(게임 소개합니다...^^)
  http://kldp.org/node/79153

 * 재미있는 오픈소스 게임 소개... ( Pingus )
  http://ubuntu.or.kr/viewtopic.php?f=4&t=5688

 * 리눅스에 이런 게임이 올라왔네요.. 관찰자의 입장에서 볼 수도 있는 게임이네요..
  http://ubuntu.or.kr/viewtopic.php?f=23&t=1281

== 압축 유틸리티 ==
 * [wiki:LinuxdocSgml/Bzip2 Bzip2 mini HOWTO] (이호연)
  새로운 압축 프로그램 bzip2를 사용하는 방법

== 파티션 프로그램 ==
 * [http://wiki.kldp.org/wiki.php/fdisk 리눅스용 fdisk 사용하기]
  리눅스용 fdisk를 사용하는 방법

== [오피스](office) ==
 * [wiki:LinuxdocSgml/StarOffice StarOffice]   (윤대원)     
  리눅스용 오피스 툴인 스타오피스(StarOffice) 3.1을 설치하는 방법

 * [wiki:LinuxdocSgml/CJK-Lyx-KLDP CJK Lyx] (박진철)
  TeX기반의 워드프로세서인 Lyx의 한글화 버전 소개, 설치 방법

 * 오픈오피스 매뉴얼
  http://ubuntu.or.kr/viewtopic.php?p=53477#p53477

== 시스템 모니터링툴 ==
 * [torsmo] (작은상자)
  가벼운 시스템 모니터링툴, fluxbox에 적합
 * [Conky] (작은상자)
  torsmo의 포크버전

== 가상 에뮬레이터 ==
=== VMPlayer ===
 * [VMPlayer] ([이한길])
  VMPlayer에 새로운 이미지 생성해서 사용하기

=== VMware ===
 * [VMware]

=== VirtualBox ===
 * [VirtualBox]

=== Cygwin ===
 * Cygwin 설치 및 사용법 (1)
  http://blog.naver.com/timberx/30035815423

 * cygwin 설치 및 사용 (2) cygwin openssh를 이용해서 윈도우에서 x window 응용 프로그램 띄우기 
  http://blog.naver.com/timberx/30035815423

 * cygwin 설치 및 사용 (3) 리눅스에서 cygwin openssh server에 접속하기 
  http://blog.naver.com/timberx/30035815423

 * cygwin 설치 및 사용 (4) 리눅스의 nautilus로 윈도우즈 xp의 cygwin openssh server에 접속하기 
  http://blog.naver.com/timberx/30035867113

 * cygwin에서 한글 보고 쓰기 
  http://blog.naver.com/timberx/30035879881

== 데스크탑 액세서리 ==
=== synergy ===
 * ubuntu에서 synergy 설치방법
  http://kldp.org/node/72340

 * Synergy 2 에서 한글키를 되게 하려면..
  http://kldp.org/node/68593

 * 리눅스와 윈도우 간의 클립보드 공유!!
  http://kldp.org/node/57045

== 기타 ==
 * Audacious의 소개와 한글설정
  http://ubuntu.or.kr/viewtopic.php?f=9&t=106

----
CategoryCategory
----
Category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