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글이 문서에서는 DocBook을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html, rtf, dvi 등으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프로그램들과 파일들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DocBook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이에 관한 사항들은 이곳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또한, DocBook에 대한 소개도 지면 관계상 생략합니다. 이 내용 역시 위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 외 설치를 하는 파일들에 대한 소개 혹은 관련 링크는 해당 내용에서 다룹니다. 1.1. 저작권 정보이 문서는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버전 1.1 혹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발 행한 이후 판의 규정에 따르며 저작권에 대한 본 사항이 명시되는 한 어떠한 정보 매체에 의한 본문의 전재나 발췌도 무상으로 허용합니다. 1.2. 책임의 한계본 저자는 문서의 내용이 야기할 수 있는 어떠한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문서에서 내포하고 있는 정보들 및 예제들은 여러분이 알아서 활용하십시오. 비록 최선을 다했으나 이 문서는 틀린 점이나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틀린 점을 발견했다면 꼭 저에게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2. 필요한 프로그램들의 설치
2.1. DocBook DTDDocBook DTD는 http://www.docbook.org/sgml/4.1/docbk41.zip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실행파일이나 라이브러리가 아니기 때문에 Linux와 Windows 모두 같은 파일을 사용합니다. 이를 받은 후 임의의 디렉토리에 풉니다. 앞으로 이 디렉토리를 %DOCBK41%[3]으로 표기합니다. 2.2. ISO entity setISO entity set은 www.oasis-open.org/cover/ISOEnts.zip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DOCBK41% 안에 풉니다. 그러면 ISOpub, ISOtech, ISOnum 같이 확장자 없이 이름이 ISO<entity>인 파일들이 풀립니다. %DOCBK41%docbook.cat을 보시면 마지막에 ISO entity sets 설정 부분이 있는데 이름이 iso-<entity>.gml 형식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docbook.cat을 고쳐서 ISO<entity> 형식으로 만들거나 ISO<entity> 형태인 파일들의 이름을 ISO-<entity>.gml 형태로 바꿔줍니다. 전자가 쉽겠죠? :) 2.3. StylesheetStylesheet은 Normal Walsh의 Modular DocBook Stylesheet을 사용합니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docbook에서 직접 받을 수 있고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최신 버전은 1.72입니다. 이 파일을 풀면 docbook이라는 디렉토리가 만들어지고 그 안에 파일들이 풀립니다. 이 docbook이라는 디렉토리는 %NWALSH%라 하겠습니다. 2.4. Jadejade는 stylesheet을 이용하여 DocBook 문서를 html, rtf 등의 문서로 변환해 주는 대표적인 tool입니다. http://www.jclark.com/jade/#getting에 가시면 최신 버전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받은 파일을 적당한 디렉토리에 풉니다. 이 디렉토리는 %JADE%라 하겠습니다. 2.5. SGML_CATALOG_FILEScatalog file들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SGML_CATALOG_FILES라는 환경 변수를 설정해 줘야 합니다. 2.5.1. Linux
2.5.2. Windowscommand prompt 상에서
2.5.3.이제,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html로 변환할 때
2.6. KLDP용 Stylesheetkldp.dsl 다운 http://docs.kldp.org/Stuff/kldp.dsl을 받아서 아무 디렉토리에다 복사합니다. 이 디렉토리는 %KLDP%라 하겠습니다. kldp.dsl을 열어서
이후 jade를 쓸 때는
주석
|
He who has imagination without learning has wings but no fe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