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DP.org · KLDP.net · KLDP Wiki · KLDP BBS ·
개발자코너


1.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2. 일반 문서

3. 퀵 레퍼런스 카드 모음

4. 프로그래밍 도구

4.1. 컴파일러

  • The Linux GCC HOWTO (Daniel Barlow, 이만용, 김창연, 엄기성)
    GNU C 컴파일러와 라이브러리를 리눅스에서 설정하는 방법과 리눅스에서 컴파일, 링킹, 실행, 디버깅하는 방법

  • [http]GCC and Make (이만용, 조한석)
    리눅스의 C 컴파일러인 gcc와 make 사용하기

  • 링커와 로더 (윤인수)
    컴파일러, 링커, 로더들이 어떻게 동작하며 공유 라이브러리의 잇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

  • GccOptimizationOptions [http]신성국
    optimization(최적화)에 관련된 gcc option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도표 제공

  • [http]GCC Warning/Error List [http]신성국
    GCC가 출력하는 에러/경고에 대한 설명과 예시 제공

4.2. GNU Tools

4.3. 문서화 툴

  • Doxygen Doxygen 은 C, C++, JAVA등의 소스를 자동(주석을 이용하여)으로 문서화 시키는 도구 입니다.

4.4. 프로젝트 관리

4.5. 버전 관리

4.5.1. CVS

  • CVS/GuideLine (최정대)
    초보자를 위한 CVS 가이드 라인

  • KLDPNetCVS-HOWTO (이재홍)
    KLDPNet의 CVS 사용에 관한 안내

  • CVS/FAQ
    CVS에 관한 잦은 질문과 답변, 사용 방법 등을 정리

  • WinCVS
    WinCVS 사용법

  • TortoiseCVS
    TortoiseCVS 사용법

  • CVS 안내 (김민식, 박용주)
    CVS의 개념, 사용법, 저장소 관리 방법 안내

  • CVS 강좌 (장우현, 박용주)
    CVS의 사용법에 대한 안내

  • RcsTutorial (임대영, 이기동)
    RCS는 문서의 버전을 컨트롤해 줍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물론이고 다른 문서에서도 문서의 변동 사항을 체크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사람이 공동의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도 이 RCS는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 [http]CVS 프리젠테이션 (송지석)
    간단한 CVS 사용법 정리 프리젠테이션

  • [http]CVS 팁 (방창현)
    일반적인 CVS 사용외에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꼭 필요한 CVS 팁 모음.

  • Netbeans에서 CVS쓰기

4.5.2. Subversion

4.5.3. SVK

4.5.6. BaaS

  • baas.io 모바일 백엔드 서비스, 바스아이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서버의 기능을 일반화/정형화하여 API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모바일 앱 개발자가 서버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서버 운영을 할 필요가 없게 함.

4.6.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4.6.1. 리눅스 IDE 모음

4.6.2. 리눅스 대표 IDE

4.6.3. 일반적인 GUI 라이브러리별 IDE

GUI 라이브러리IDEHomepage
gtk+,gnome,gtkmm,gladeAnjutahttp://www.anjuta.org/
qt,kdeKDevelophttp://www.kdevelop.org/
wxwidgetsCode::Blockshttp://www.codeblocks.org/
jface(java)Eclipsehttp://www.eclipse.org/
swing(java)NetBeanshttp://www.netbeans.org/

5. 프로그래밍 언어별 구분

5.1. AssemblyLanguage

5.2. C & C++

5.3. C 라이브러리

5.4. JavaLanguage

  • JLex Manual (박종수)
    자바에서 사용할 수 있는 Lexical Analyzer의 일종인 JLex의 사용 방법

  • Java CGI HOWTO(박주희)
    서버에서 자바로 작성된 CGI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방법과 CGI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자바를 사용하는 방법.

  • [http]Java2 설치 및 환경 설정 (김진덕)
    리눅스에서 자바를 사용하기 위한 자바 설치 및 설정 방법

  • [http]Java-Linux JDK 1.1.1 HOWTO (박기영)
    리눅스용 JDK설치하기. 문서가 좀 오래되었고, 요즘 나오는 배포본들은 대부분 JDK를 기본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리눅스에서 자바를 이용하는 것은 아주 쉽습니다

  • Eclipse 김진욱 리눅스 및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바 개발툴인 Eclipse 에 대한 설명

  • Gnu Compiler for Java (이한길)
    자바로 씌여진 코드를 Native Code로 바꿔주는 GCJ에 대한 소개

  • CUPManual
    자바에 기초한 유용한 Parser인 CUP에 대한 기본적인 작동과 사용방법을 기술

5.5. JSP

5.7. PHP

5.8. Pascal

5.9. Perl

5.10. Python

5.11. Ruby

5.12. TclTk

  • 리눅스 Tcl/Tk HOWTO (심상만)
    리눅스 상에서 티클, 티케이(Tcl, Tk)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방법

6. 분야별 프로그래밍

6.1. 커널 프로그래밍

6.2.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Libpcap 사용하기 (노광민)
    공개된 패킷 캡처 라이브러리인 libpcap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패킷을 분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

  • [http]Raw IP Networking FAQ (김성윤, 안창선)
    Raw socket, packet capturing 등에 대한 빈번한 질문과 답

  • [http]Beej's Guide to Network Programming (박성호)
    유닉스/리눅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소켓 프로그래밍) 안내 문서입니다.

  • [http]C 소켓 프로그래밍 FAQ (김한수, 여러분)
    유닉스/리눅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잦은 질문과 답변

  • Wake on LAN (WOL) (minzkn)
    Wake on lan에 대하여 간략한 패킷설명

  • NAT (minzkn)
    NAT의 특징을 분류하고 홀펀칭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

6.3. 시스템 프로그래밍

6.4. X윈도우 & GUI 프로그래밍

6.4.1. Xlib(low level) 직접 이용

- 일반적인 경우에 Xlib를 직접이용하지 않고 Gtk+,Gtkmm,Qt,wxWidgets,Xt(old),Motif(old) 등의 widget toolkit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GUI프로그래밍을 합니다.
참고 : http://en.wikipedia.org/wiki/Xlib

6.4.2. Gtk+ 관련

  • Gtkmm Tip
    Gtkmm은 [http]GTK+라이브러리를 C++언어로 바인딩 한 것입니다. Gtkmm으로 만든 유명한 프로그램으로는 Inkscape, GParted, Ardour 등이 있습니다.

  • Gtk Tutorial (서주태, 한지호) -- too old
    Gtk 툴킷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Gtk는 리눅스 데스크탑 프로젝트중 하나인 GNOME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KDE에서 사용되는 Qt와는 달리 완전 공개되어 있습니다.

  • Glade 사용하기 (선정필) -- too old
    Glade를 설치하고 간단한 텍스트 에디터를 만드는 예제

  • [http]Glade 2 튜토리얼 (Eddy Ahmed, 번역: 서종화)(접속불량)
    GTK+ 라이브러리로 응용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보다 쉽게 도와주기 위한 도구인 Glade 2에 대한 간단한 튜토리얼

6.4.3. Qt 관련

6.4.4. wxWidget 관련

6.5.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6.6. 그래픽 처리

6.7. 기타

7. 한글 처리

7.1. 한글 입출력

7.2. 국제화와 지역화

  • gettext mini Howto (이 승윤)
    국제화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gettext의 사용법
  • [http]Gtk+에서의 국제화 (이만용)
    GNOME 프로젝트 및 다양한 리눅스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되고 있는 GTK 툴킷의 한글화/국제화에 대한 이야기
  • [http]GNU gettext 도구들 (류창우)

7.3. 한글과 한자

7.4. 한글 로케일

  • Locales mini HOWTO (이만용) - 낡음
    locale을 이용하여 다양한 언어권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는 방법

7.5. 한글코드

7.6. 한글입력기

8. 배포본 만들기

  • 데비안 Jigdo 사용하기 (윤종은)
    Jigdo를 사용하여 공식/비공식 데비안 ISO 이미지를 받는 방법

  • Making WOWLinux (김용일, 이종준, 허태을)
    레드햇 아나콘다를 이용하여 리눅스 배포판을 만드는 방법

  • Debian CD (박양배)
    Debian CD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Pseudo Kit에 대한 설명

  • [http]Burning a RedHat CD mini-HOWTO (서환수)
    레드햇 리눅스 배포판 CD를 만드는 방법

9.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 스캐너 & 파서

  • TinyC in Lex yacc (이형채)
    TinyC language의 간단한 AST 파서 만들기에 대한 글

  • C-Minus_in_Lex_yacc C-Minus in lex(flex) and yacc(bison) (이형채)
    C-Minus language의 간단한 AST 파서 만들기에 대한 글

  • tiger in lex(flex) and yacc(bison) (이형채)
    tiger language의 간단한 AST 파서 만들기에 대한 글

  • SQL_in_Lex_yacc SQL in lex(flex) and yacc(bison) (이형채)
    SQL의간단한 AST 파서 만들기에 대한 글

  • yacc vs lemon (이형채)
    yacc와 lemon 비교분석에 대한 글






ID
Password
Join
Among the lucky, you are the chosen one.


sponsored by andamiro
sponsored by cdnetworks
sponsored by HP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5-09-07 20:36:42
Processing time 0.0505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