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OfContents]]
== 젠투 리눅스 설치에 대하여 ==
이 장에서는 핸드북에서 문서화된 내용들에 해당하는 설치에 대해 소개합니다.
=== 소개 ===
==== 환영합니다! ====
무엇보다도 젠투의 세계에 잘 오셨습니다. 선택과 성능의 세계로 들어오셨습니다. 젠투야 말로 선택에 대한 모든것입니다. 젠투를 설치할때, 이 메뉴얼은 상당 시간동안 얼마나 많이 스스로 컴파일 하고 싶은지 선택하고, 어떤 로거가 설치된 젠투를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 등등에 대한 도움을 줄 것입니다.

젠투는 빠릅니다. 깔끔하고 유연한 설계로 이루어진 현대적 메타배포판입니다. 젠투는 자유소프트웨어 영역에서 빌드되었고 음지(is beneath the hood)의 사용자들로부터 숨기지 않습니다. 젠투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은 파이선으로 쓰여졌으며 이는 소스코드를 쉽게 보고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젠투의 패키징 시스템은 ( 비록 미리 컴파일된 지원 패키지가 있지만 )소스코드를 사용하며 젠투의 환경설정은 일반 텍스트 파일에 의해 이뤄집니다. 즉 다시 말해서, 어디든지 개방되어 있습니다.

이는 무엇이 젠투를 실행되도록 하느냐에 대한 선택을 이해하는데 굉장히 중요합니다. 우리는 당신이 좋아하지 않는것에 대해 강요하려 한적이 없습니다. 우리가 강요한다고 생각되면 [http://bugs.gentoo.org/ 버그레포트]로 신고하세요. ;)

==== 설치구조는 어떻게 됩니까? ====
젠투 설치는 챕터 2~11 범위에 해당하는 10단계 프로시저로 볼 수 있습니다. 모든 단계는 일정한 상태의 결과를 냅니다 :

    * 1단계 이후로, 젠투를 설치하기 위한 환경 준비상태에 있게 됩니다.
    * 2단계 이후로, 젠투를 설치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 준비상태에 있게 됩니다.
    * 3단계 이후로, 젠투 설치물을 적재하기 위해 하드디스크가 초기화 됩니다.
    * 4단계 이후로, 설치환경이 마련되고 새로운 환경으로 루트를 전환할 준비상태에 있게 됩니다.
    * 5단계 이후로, 모든 젠투 설치에 관해 동일한 중심 패키지가 설치됩니다.
    * 6단계 이후로, 리눅스 커널이 컴파일되어 있어야 합니다.
    * 7단계 이후로, 많은 젠투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들을 완성합니다.
    * 8단계 이후로, 필요한 시스템 도구(괜찮은 리스트로부터 선택할 수 있습니다)가 설치됩니다.
    * 9단계 이후로, 선택한 부트로더가 설치되고 설정되며 이것에 대한 사항이 새로이 설치된 젠투에 기록됩니다.
    * 10단계 이후로, 젠투리눅스 환경이 탐색 가능한 (번역이 이상해도 대충 이정도의 의미로 이해하자 -_-;) 상태가 됩니다.

어떤 일정한 선택의 기로가 주어졌을때, 우리는 어떤것이 더 나은가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 최선을 다합니다. 우리는 제목에 "기본:" 으로 구분지은 기본적 선택과 함께 쭈욱 설명해나갈 것입니다. 다른 가능성에 대하여는 "대안책:"으로 표기하겠습니다. 기본사항이 우리가 추천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는 마십시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걸 사용할 것이다 라고 우리가 믿는다 해도.

때로는 별도의 과정을 따라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 "선택사항:"과 같이 표기하고, 그래서 이건 젠투를 설치하는데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어떤 별도의 과정은 독자의 선결정에 의존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결정을 했을때와 바로 이전에 설명한 별도의 과정이 있을때 안내해 줄 것입니다.

==== 내 선택사항은 뭐죠? ====
젠투를 설치하는데 있어 방법은 다양합니다. 존재하는 배포사이트로부터 CD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도 있고, 아니면 부팅 가능한 시디로부터 ... 그것도 아니면 네트워크 부팅이 가능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복구 플로피 등등...

이 문서는 젠투 설치 시디나 네트워크 부팅과 같은 경우에 대한 설치방법을 다룹니다. 이 설치는 각각의 사용가능한 최신 패키지 버전을 설치하길 원한다는걸 가정합니다. 만약 네트워크 연결을 하지 않는 설치를 원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어있는 환경을 위한 설치 방법이 포함된 [http://www.gentoo.org/doc/en/handbook/2008.0/ 젠투 2008.0 핸드북]을 읽어야 할 것입니다.

또 알아두어야 할 것은, 젠투 레퍼런스 플랫폼(이미 컴파일되어 젠투 설치후 바로 쓸 수 있는 패키지를 의미)을 쓰는걸 계획하고 있다면, [http://www.gentoo.org/doc/en/handbook/2008.0/ 젠투 2008.0 핸드북]의 순서를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다른 설치 방법으로의 접근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다면, [http://www.gentoo.org/doc/en/altinstall.xml 대안 설치 가이드]를 꼭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또한 읽으면 꽤 도움이 되는 [http://www.gentoo.org/doc/en/gentoo-x86-tipsntricks.xml 젠투 설치 팁 & 트릭] 을 제공할 것입니다. 현재 설치 방법이 너무 정교하다(복잡하다)고 느낀다면 문서로서 존재하는 아키텍처에 맞는 [http://www.gentoo.org/doc/en/index.xml 문서 자원들] 로부터 존재하는 빠른 설치 가이드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어쨌든 이것 말고도 다양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든 시스템을 일일히 다 컴파일 할수도 있고 미리 빌드한 실행하지 않는 젠투 환경을 그대로 가져다 쓸 수 있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물론 모든걸 컴파일 할 수는 없지만 반 대기 시스템으로부터 시작하는 중급의 솔루션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그래서 뭔가 문제가 있다고요? ====
설치과정상 문제가 있다면 ( 혹은 설치 문서상의 문제가 있다면 ) [http://bugs.gentoo.org/ 버그 추적 시스템]을 방문하여 발견한 버그가 있는지를 확인해길 바랍니다. 만약 없다면 버그리포트를 생성하여 우리로 하여금 그걸 수정할 수 있게 해주셨으면 합니다. 버그를 접수한 개발자들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그들은 일반적으로 사람을 잡아먹지는 않습니다.

비록 지금 읽고 있는 문서가 아키텍처로 구분되어 있다는게 언급되어 있다지만 다른 아키텍처에서 참조할 사항들도 포함될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젠투 핸드북의 큰 파트가 모든 아키텍처를 위해 일반적인 소스코드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쓸데 없는 노력을 막고 개발자원의 부족을 막기 위한 차원입니다). 우리는 혼란을 막기 위해 중도를 유지하려 할 것입니다.

만약 이 문제가 사용자의 문제라는걸 확신하지 못한다면 (문서를 주의깊게 읽었는데도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혹은 소프트웨어의 문제일 경우(문서제작과 설치를 주의깊게 테스트 했는데도 에러가 난다면) irc.freenode.net의 #gentoo 채널에 들어오시기 바랍니다. 물론 다른 이유에서라도 좋습니다. :)

젠투에 대한 질문이 있다면, 우선 [http://www.gentoo.org/doc/en/ 젠투 문서]에 있는 [http://www.gentoo.org/doc/en/faq.xml FAQ]를 확인해보세요. 또한 [http://forums.gentoo.org/ 포럼] 내의 [http://forums.gentoo.org/viewforum.php?f=40 FAQ] 들을 볼 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곳에서 답을 찾지 못했다면 irc.freenode.net의 irc 채널 #gentoo에 오셔서 질문하세요. 네, 우리중 대부분이 IRC에 눌러 앉아있는 굇수들입니다 :-) 


[http://wiki.kldp.org/wiki.php/GentooX86Handbook_Ko 이전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