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ype linuxdoc system 
 [ \usepackage{hangul}
 
]>

<!-- LyX 1.1 created this file. For more info see http://www.lyx.org/ -->
<article>
<title>
CJK-LyX 설치 및 사용법
</title>
<author>
박진철<url url="mailto:jincheol@disc.co.kr" name="(agolta)"> 
</author>
<date>
2000-07-12
</date>
<abstract>
ABSTRACT CJK-LyX의 설치법 및 사용법입니다.
</abstract>
<toc>
<sect>
파일 다운로드
<p>
CJK-LyX의 공식 홈페이지는 <url url="http://cellular.phys.pusan.ac.kr/cjk.html" name="CJK-LyX Home page">이다. 하지만 여러가지 미리 다운받고 설치해야
 할 것들이 많기 때문에 <url url="http://agolta.escovery.co.kr/CJK-LyX/list.html" name="Download"> 를 참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p>
<p>
<url url="http://agolta.escovery.co.kr/CJK-LyX/list.html" name="Download">에서 다운받는 것을 기준을 설명하겠다.
</p>
<p>
모든 파일을 다 다운로드 받는다.
</p>
<sect>
설치
<p>
<enum>
 <item>
rpm -Uvh tetex-*.rpm --nodeps 한다.(nodeps는 별로 좋지 않은 옵션이지만
 tetex에 depend되어 있는 패키지가 별로 없기 때문에 과감히 해버려도 상관없다.
 tetex-lyx는 lyx설치를 검증하기 때문에 nodeps옵션을 붙인다.)
 <item>
rpm -Uvh xform*.rpm 한다.
 <item>
rpm -Uvh HLaTeX*.rpm --nodeps 한다.(문체부 폰트의 경우 /usr/bin/ttf2pk를
 찾는데 없어도 잘 된다.) --&gt; 혹시 누구라도 ttf2pk파일 가지고 계신분 저한테
 보내주시면 올려놓겠습니다.
 <item>
tar zxvf CJK-LyX-1.1.4fix3-src.tar.gz한다.
 <item>
cd CJK-LyX-1.1.4fix3한다.
 <item>
cp ../CJK-LyX-1.1.4fix3_menu-patch . 한다.(원래 CJK-LyX는 Chinese,Japaness,Korean을
 다 수용하기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메뉴가 영문으로 나온다. 하지만 한글 메뉴로
 나오는게 좋은사람은 이 패치를 적용하면 된다.)
 <item>
patch -p1 &lt; CJK-LyX-1.1.4fix3_menu-patch (한글메뉴 패치이다. 나는 잘
 알지도 못하는 LaTeX문법 쓰기가 싫어서 메뉴라도 한글로 나오는것을 선호했다.
 영문이 더 편한사람은 안해도 무방함)
 <item>
cp ../hanout.c src (hanout.c라는 프로그램은 원래 hanX <footnote>
기가막힌 해킹 프로그램이다. X라이브러리 전체를 한글화 했는데 저자는 생각이
 안남. </footnote>
라는 프로그램안의 일부인데 Debug출력부분과 폰트부분을 바꾸었다. 다른폰트를
 가진 사람은 51라인의 HANOUT_FONT부분을 바꾸기 바란다.)
 <itemize>
  <item>
폰트 확인은 xfontsel -pattern -*-ksc5601.1987-0으로 해보시고 fndry에 있는
 것을 바꿔주시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 ssc가 있었는데 아마 다른분들은 baekmuk으로
 되어 있는 분도 많이 계실 겁니다. 여기서 나온 폰트를 HANOUT_FONT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itemize>
 <item>
configure --prefix=/usr ; make ; make install(root유저로 작업한다. prefix를
 주는 이유는 tetex-lyx등이 /usr/share/lyx를 기본으로 설치되기 때문이다. 아마
 별 에러 없이 잘 될것이다.)
 <item>
lyx를 한번 실행하고 종료한다.(이유는 홈디렉토리에 .lyx디렉토리 생성을 위해서다.)
 <item>
cp ../lyxrc.default &tilde;/.lyx(CJK-LyX의 스크린 폰트를 바꾸기 위해서이다.
 만약 폰트가 다른 사람은 lyxrc.default의 마지막 네줄을 적절히 편집하라)
 <item>
이 문서는 howto.lyx라는 문서이고 다운받았다면 lyx howto.lyx로 볼 수 있을
 것이다.
</enum>
</p><sect>
간단한 사용법
<p>
<itemize>
 <item>
lyx 라고 실행하면 된다.
 <item>
문서의 템플릿에서 불러오기를 누르고 템플릿을 클릭하면 이미 준비된 템플릿들이
 있다. 마음에 드는 템플릿을 더블클릭하면 템플릿이 Load된다.
 <item>
로드된 템플릿을 일단 새이름으로 저장(덮어쓰면 곤란하니까) 한다.
 <item>
마음껏 편집하고 저장하고 종료한다.
 <item>
종료한 후 저장된 lyx파일을 편집기로 연다.
 <item>
textclass(위에서 3줄째)뒤의 단어를 article로 변경한다.(이유는 한글 Latex이
 지원하는 템플릿이 4가지이고 그중 article이 가장 유용하기 때문이다. 변경해도
 lyx상에서 큰 변화는 없다.
 <item>
다시 lyx를 실행해서 파일을 불러온다.
 <item>
모양의 Latex premble를 클릭한다.
 <item>
&bsol;usepackage&lcub;hangul&rcub;이라고 쳐준다.(이걸 안써주면 한글 폰트나
 스타일이 Load되지 않는다.)
 <item>
참고로 문서의 용도에 맞게 새형태로 저장하기를 해준다. 저장포맷은 latex,dvi,ascii,ps,html등이
 있는데 html은 잘 동작하지 않는다. 주로 ps로 저장하면 된다.
 <item>
ps2pdf라는 명령(기본 리눅스 패키지에 다 있음)으로 pdf파일을 만들 수 있다.
 <item>
textclass를 linuxdoc으로 하면 linuxdoc형태의 sgml을 얻을 수 있다. 이 sgml을
 sgml2html로 멋진 Document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이 문서가 그렇게 작업한 것이다.)
 <item>
만들어진 ps를 보는 명령은 gv이고, dvi파일을 보는 명령은 xdvi이다.(이 둘은
 기본 리눅스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다.) pdf같은 경우에 xpdf로 볼 수 있지만 www.adobe.com에서
 최신 acrobat reader를 다운받아 보는것이 더 좋을 것이다. 
 <item>
현재 XIM처리부분이 약간 문제가 있다. 다른 XIM을 이용하는 프로그램과 동시에
 사용할 때 커서가 죽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마우스입력은 계속 살아 있으니 저장
 하고 다시 실행하면 된다.(곧 고쳐지겠죠?)
</itemize>
</p><sect>
사족
<p>
LaTeX은 워드프로세서가 아닌 조판프로그램이다. 당신이 원하는 출력물을 WISWIG으로
 출력해 주지 않는다. 단지 당신이 전문 디자이너가 아니라면 당신이 머리써서 폰트지정하고,
 띄어쓰기하고, 문장정렬해서 만든 출력물 보다 훨씬 더 세련되고 깔끔하게 출력해
 줄 것이다.
</p>
<p>
그리고 또한가지로 LaTeX은 문서의 데이터화를 가능하게 한다. LyX를 한번 써보라.
 enumerate,itemize등으로 자동 번호매기기부터 주석달기 등등 모든 작업이 쉽게
 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이 작업들은 데이터화 하면서 하기때문에 쉽게 sgml이나
 html로 변환될 수 있다. 
</p>
<p>
이렇게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준 LaTeX과 CJK-LyX 개발트리에 있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
</p>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