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DP.org · KLDP.net · KLDP Wiki · KLDP BBS ·
Linuxdoc Sgml/Translation-KLDP

한글 번역 미니 하우투

한글 번역 미니 하우투

Korean Translation mini-HOWTO

임종균 kernel@kldp.org

v0.2, 2000년 4월 19일
무슨 문서를, 어떻게, 어떤 절차로 번역할 것인가에 관한 짧은 글

1. 소개

1.1 왜 번역을 해야 하는가?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동이다. 오픈 소스에서의 소스는 단지 프로그램 코드만이 아니라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모든 자료이다.

우리는 오픈 소스 혹은 자유 소프트웨어의 결과물을 사용하며 이득을 얻고 있는 사용자로서 다시 그 이익을 환원해야만 하는 윤리적인 당위성이 있다. 이에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로서 - 또한 개발자도 - 할 수 있는 일 중의 하나는 사용자 매뉴얼이나 개발자 노트와 같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서를 쓰고 번역하는 것이다.

1.2 범위

문서를 창작하는 일 또한 힘들고 중요한 작업이지만 이 미니 하우투에서는 기존의 외국 문서를 - 주로 영문 문서를 - 번역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만을 다루겠다.

1.3 권리

이 문서는 GPL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 수정, 배포될 수 있다.

수정이나 갱신 사항이 있다면 이 문서의 저자인 임종균에게 알려주시기 바란다.

2. 무엇을 번역할 것인가?

그렇다. 문서 번역에 있어 가장 중요한 선택의 문제는 ''무슨 문서를 번역할 것인가''이다.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 본인에게 필요한 문서를 번역하라. 본인이 자주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에 대한 문서를 선택하라.
  • 본인에게 익숙한 주제를 선택하라. 사용해 보지도 않고 접할 기회도 없는 것에 대한 것을 문서만 보고서 번역하는 것은 오역의 가능성이 있다.
  • 많은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번역하라. 현재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에 대한 번역을 큰 도움이 된다.
  • 최신 문서를 번역하라. 이미 지난 내용의 것을 번역하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이다. 최신 뉴스 기사에 대한 번역도 가치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서들중에서 선택을 한다. 물론 이것은 완벽한 목록이 아니다. 이 외에도 수많은 문서들이 더 있다!

  1. 맨페이지
  2. 영문 배포본에 포함된 설치, 사용 매뉴얼
  3.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의 사용 매뉴얼
  4. LDP의 Guide, HOWTO, mini-HOWTO, FAQ
  5. 온라인 공개 잡지의 기사들
  6. 유용한 최신 리눅스 뉴스
  7. 그 외 특정한 웹사이트의 내용

3. 번역하기 전에

이제 번역할 문서를 선택하였다면 번역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살펴봐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3.1 이미 번역된 문서

선택한 문서가 이미 번역되었거나 번역중인지를 확인한다. 이는 현재 진행중인 번역 프로젝트에서 확인해보아라. 이미 번역되었다면, 번역된 문서와 번역하려는 문서의 버전을 확인하여 더 최신 것이라면 기존의 번역된 문서를 갱신하도록 한다. 이 때는 원 번역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예의이며 원 번역자가 번역 문서를 갱신할 의지가 없다면 본인이 갱신하되 최종 결과물에는 원 번역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시킴으로서 원 번역자의 수고를 기리는 것은 당연한 예의이다. 또 아직 번역이 완료되지 않고 진행중이라면 동참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살펴서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2 번역되지 않은 문서

새로이 번역을 할 때, GPL에 따라 공개된 문서라면 별다른 원저자의 허락없이 번역하여 배포할 수 있지만, 원문서에 명시적으로 공개 여부에 대한 언급이 없다면 원저자에게 e-mail로 번역하여 공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하여야 한다. 또한 GPL로 공개된 문서라 할지라도 번역한 이후 원 번역자에게 번역한 사실을 알려주고 혹 번역한 원본 문서를 웹 혹은 ftp 사이트 등에서 구할 수 있다면 그 URL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

3.3 많은 양의 문서

사용자 매뉴얼과 같이 원문서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혼자서 무리하게 시작하기 보다는 같이 번역할 사람을 모으도록 한다. KLDP의 자원봉사자 게시판을 이용하면 관심있는 조력자들을 만날 수 있다.

3.4 최신의 문서

원문서가 최신 문서인지를 확인한다. 항상 가장 최신 문서를 -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예외도 있겠지만 - 번역하도록 한다. 이것은 불필요한 작업을 줄이는 한 방법이다.

4. 번역하며 주의할 점들

4.1 문서의 형식

처음 선택할 문제는 어떤 형식으로 문서를 만들 것인가이다. LDP와 KLDP는 SGML을 권하고 있다. SGML로 작성한 문서는 txt, HTML, ps, dvi등으로 변환이 쉽기 때문에 문서 형식에 대한 고민이 줄어든다. SGML의 경우, 현재 linuxdoc DTD를 사용하고 있으나 요즘은 DocBook DTD로 옮겨가는 추세이다. DocBook DTD가 앞으로의 대세이기는 하지만 아직은 한글화나 도구의 범용성의 문제가 있어 번역문의 경우는 linuxdoc DT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에 대한 자료는 KLDP의 SGML 관련 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다.

4.2 번역문의 문제

  1. 의역을 한다. 내용을 이해하고 변역해야 원활한 의역을 할 수 있다.

    당신이, 여러분이 ... 등은 의역을 하면 생략 가능함. 문학적이지 않은 글을 의역함은 원래 문장(모든 문장은 명제다)을 그것과 '동치'인 친숙한 우리말 표현으로 바꿈을 뜻한다.

  2. 불필요한 서술어나 조사는 생략한다. 일본식 표기임.

    쓸 수도 있다 -> 쓸 수 있다 또는 쓴다,
    할 수가 있다 -> 할 수 있다 또는 한다,
    하는 것이다 -> 한다,
    인 것이다 -> 이다
    될 수도 있는 것이다 -> 된다 또는 될 수 있다
    것, 것이다의 남발하면 문장력이 빈곤해 보인다.
    

  3. ..상의 ..하의 라는 표기는 영어의 on, by, of에 기인하는데 생략한다.

    윈도우 NT 상의(또는 하의) 환경에서 -> 윈도우 NT 환경에서
    

  4. 복수형에 집착하지 않는다. 반드시 복수라야 할 때만 쓴다.

    파일들 -> 파일
    색상들 -> 색상
    변수들 -> 변수
    

  5. '..의'는 되도록 생략한다. 일본식 표기임

    데이터의 값 -> 데이터 값
    A 파일의 B 함수의 인자 -> A 파일의 B 함수 인자
    

  6. 단어와 단어 사이는 띄어 쓴다.

    다이얼로그박스 -> 다이얼로그 박스
    

  7. 국어에 수동태는 없다. 다만, 주동과 사동 그리고 능동과 피동이 있을 뿐이다.

5. 번역한 후에

번역을 다 마친 후에는 이 번역된 문서를 많은 사람들에 볼 수 있도록 공개를 한다. 이 또한 여러가지 선택 사항이 있다.

5.1 어디에 배포할 것인가?

각 통신망의 리눅스 사용자 모임의 자료실 또는 번역 게시판, 잡지 기사인 경우 그 잡지의 사이트, 공개 번역 프로젝트의 사이트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통신망은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많이 활용이 되었으나 현재는 점차로 올라오는 번역글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또한 번역글이나 창작글의 경우 비교적 단문의 연재인 경우가 많다. 잡지 사이트의 경우 Linux Focus이외에는 공식전인 번역 사이트를 같이 운영하는 경우는 없는 듯하다.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생각되는 곳은 인터넷의 공개 번역 프로젝트 사이트이다. 각 프로젝트마다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곳은 스스로 선택하도록 하자.

5.2 어떤 배포 정책을 가질 것인가?

번역문은 원문과 같은 배포 정책을 갖는다. 원문이 GPL에 따라 자유롭게 공개된 경우 번역문 또한 GPL 라이센스라야만 한다. 그 외 라이센스가 명시되지 않은 문서의 경우 번역 결과물의 이용에 있어 원 저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다.

5.3 계속적인 갱신

계속적인 갱신이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한 번의 단발성 번역이 아니라 원문이 갱신되면 같이 갱신을 하도록 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수정해 나가는 작업을 꾸준히 하여 더욱 완벽한 문서가 되도록 한다. 이런 갱신은 그 문서를 읽는 독자에게서 자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6. 현재 진행중인 번역 프로젝트

7. 참고 자료

8. 문서 버전

  • v0.2, 2000년 4월 19일, 권순선님 감수 및 내용 세분화
  • v0.1, 2000년 4월 4일, 초안 작성




sponsored by andamiro
sponsored by cdnetworks
sponsored by HP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03-08-10 11:52:30
Processing time 0.0032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