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OfContents]] = VirtualBox 2.1.2 Network Howto = 버철박스의 NAT 네트워크는 버그때문에 자주 죽습니다.[[BR]] 게다가 속도도 느리니 Host Interface 로 사용하는 방법을 적습니다. - 송효진 == Wired == * vboxdrv, vboxnetflt 를 modprobe 한 후 그냥 호스트 인터페이스에 eth0 을 선택한다. 끝. == Wireless == * 호스트 ip 는 192.168.0.100 게스트에 할당할 ip 는 192.168.0.101 로 가정한다. * 게스트 os 에서는 dhcp 를 쓰지 않고 ip 를 직접 할당해준다. * 예전방식과는 다르게 tap0 장치 하나에 여러 게스트를 붙일 수 있다. 아래의 과정 중 route add 만 ip 를 바꿔서 반복하면 된다. {{{ modprobe vboxdrv modprobe vboxnetflt modprobe tun tunctl ifconfig tap0 up route add -host 192.168.0.101 dev tap0 sysctl net.ipv4.ip_forward=1 sysctl net.ipv4.conf.wlan0.proxy_arp=1 sysctl net.ipv4.conf.tap0.proxy_arp=1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wlan0 -j MASQUERADE VBoxManage modifyvm GuestName -hostifdev1 tap0 }}} == NAT == * VirtualBox 2.1 이 되면서 NAT 를 완전히 새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 NAT 로 하면 설정 자체는 전혀 필요 없기 때문에 포트포워딩 방법만을 적습니다. * 여전히 죽습니다. === Port Forwarding === * 네트워크 카드 이름이 총 4가지인데 설정은 그냥 2가지로 구분한다. * pcnet 과 e1000 으로만 구분하면 된다. * 윈도 터미널 포트 포워딩 예. {{{VBoxManage setextradata "WindowsXP" "VBoxInternal/Devices/e1000/0/LUN#0/Config/terminal/Protocol" TCP VBoxManage setextradata "WindowsXP" "VBoxInternal/Devices/e1000/0/LUN#0/Config/terminal/GuestPort" 3389 VBoxManage setextradata "WindowsXP" "VBoxInternal/Devices/e1000/0/LUN#0/Config/terminal/HostPort" 3389}}} * Intel 1000 Server 선택해서 e1000 이고, 윈도터미널이라고 이름을 terminal 로 지었다. * terminal 을 apache 로 하고 GuestPort 80 HostPort 8080 으로 바꾸는 식으로 응용한다. = Mouse = * ImWheel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