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 Abstract ] [ 저작권 ] [ 차례 ] [ 다음 ]

데비안 GNU/리눅스 2.1 설치 (Intel x86) - 장 7
dbootstrap을 이용한 시스템 초기화 설정


7.1 dbootstrap 소개

dbootstrap은 설치 시스템으로 부팅한 후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이름이다.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 초기화 설정을 하고 ''베이스 시스템''을 설치한다.

dbootstrap의 주 임무는 시스템의 핵심 요소를 설정하는 것이다. IP 주소, 호스트 이름 그리고 네트워크 셋업에 필요한 사항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커널과 연결될 ''커널 모듈''을 설정하는 것도 여기에 포함된다. 모듈에 포함되는 것으로는 저장 장치 드라이버, 네트워크 드라이버, 특별한 언어 지원, 그외 주변 장치에 대한 지원 등이 있다.

여러분의 시스템이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또는 다음 설치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것들을 먼저 설정해 주어야 한다.

dbootstrap는 (그래픽을 표시할 수 없는 시스템을 위한) 간단한 문자 기반의 프로그램이다. 매우 사용하기 쉽다. 길을 따라 걷듯이 설치 과정의 각 단계를 안내할 것이다. 어떤 단계에서 실수가 있었다면 뒤로 돌아가서 그 단계를 다시 밟을 수도 있다.

화살표 키와 Enter 그리고 Tab 키를 이용하면 dbootstrap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유닉스나 리눅스를 어느 정도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Left Alt-F2를 눌러 두 번째 가상 콘솔을 열 수 있다. 스페이스 바의 왼편에 있는 Alt 키와 F2키를 동시에 누른다. Bourne shell과 유사한 ash가 실행되는 또 하나의 분리된 윈도우이다. 이제 RAM 디스크로 부팅된 상태이고, 사용할 수 있는 유닉스 유틸리티에는 제한이 있다. ls /bin /sbin /usr/bin /user/sbin을 하면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유닉스 유틸리티를 볼 수 있다. 각 프로그램들이 할 수 있는 어떠한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메뉴를 사용하도록 한다. 셸과 명령어(command)들은 무언가 잘못 되었을 때 사용하기 바란다. 특히, 스왑 파티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메뉴를 사용하고 셸을 사용하지 않기 바란다. 왜냐하면, 여러분이 셸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 메뉴 소프트웨어는 모르기 때문이다. Left Alt-F1를 누르면 메뉴로 돌아갈 것이다. 리눅스는 가상 콘솔을 64개 까지 제공하지만 Rescue Floppy에서는 단지 몇 개 만을 지원한다.

에러 메세지는 대개 (tty3로 알려진) 세번째 가상 터미날로 출력된다. Left Alt-F3를 눌러서 이 터미날을 열 수 있다. dbootstrap으로 돌아가려면 Left Alt-F1을 누른다.


7.2 ``Select Color or Monochrome display''

시스템의 부팅이 끝나면, ``Select Color or Monochrome display''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모니터가 칼라이면, 그냥 Enter를 누른다. 이때 화면이 흑백에서 칼라로 바뀌어야 한다. ``Next''에서 다시 Enter를 눌러 설치를 계속한다.

모니터가 흑백이라면 화살표 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Next'' 메뉴 항목에 갖다 놓고 Enter를 눌러서 설치를 계속한다.


7.3 ``Debian GNU/Linux Installation Main Menu''

``The installation program is determining the current state of your system and the next installation step that should be performed.''라는 메세지를 볼 수 있다. 어떤 시스템에서는 읽을 수 없을 정도로 빨리 지나갈 수 있다. 주 메뉴의 각 단계 사이에서 이러한 대화 상자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설치 프로그램은 (dbootstrap) 각각의 단계 사이에서 시스템의 상태를 체크할 것이다. 이것은 만약 설치 도중 시스템이 중단되는 상황이 일어나도 이미 해놓은 작업에서부터 설치를 다시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설치를 다시 시작해야만 한다면, 컬러 혹은 모노크롬 여부에 대한 것, 키보드, 스왑 파티션 재활성화를 설정하고, 초기화된 디스크를 다시 마운트(re-mount)해야 할 것이다. 시스템에서 했던 작업은 어떤 것이라도 저장되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기능을 데비안은 제공한다.

설치 전 과정에 걸쳐, ``Debian GNU/Linux Installation Main Menu''라는 타이틀을 가진 주 메뉴가 나타날 것이다. 메뉴의 제일 위에는 설치가 진행됨에 따라 각 과정에 해당하는 메뉴가 나온다. 리눅스 저널에서, Phil Hugh는 데비안의 설치 메뉴 방식에 대해 ''에게 데비안을 설치하는 법을 가르쳐 줄 수 있을 정도이다!'' 라고 이야기 했다. 그는 설치 과정이 Enter 키를 쪼아대는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설치 메뉴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선택 사항은 앞서 이루어진 과정이 무엇인지에 따라 다음에 해야 할 것들이 표시된다. ``Next'' 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시스템 설치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7.4 ``Configure the Keyboard''

``Next'' 항목에 반전 막대가 오도록 한다. 그리고 엔터키를 눌러서 키보드 설정 메뉴로 간다. 여러분의 언어에 맞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해당되는 키보드 레이아웃이 없다면 가장 가까운 설정을 선택하도록 한다. 설치가 끝난 후에도 키보드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는 제공되는 선택의 폭이 더 넓다 (설치를 완료한 후에 root의 권한으로 kdbconfig을 실행시킨다).

설치할 키보드에 반전막대를 오게 하고 Enter를 누른다. 반전 막대를 움직일 때에는 화살표키를 사용한다. 어떤 언어를 지원하는 키보드 레이아웃이든지 간에 화살표키는 똑같은 위치에 있는, 키보드 설정과는 무관한 사항이다.


7.5 마지막 기회!

앞에서 하드디스크를 백업하라는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지금 이 순간은 하드디스크의 모든 데이타를 지울 수 있는 최초의 기회인 동시에 기존의 시스템을 저장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기도 하다. 당신이 디스크를 모두 백업하지 않았다면, 드라이브에서 플로피를 모두 빼고, 시스템을 리셋한 후 백업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바란다.


7.6 ``Partition a Hard Disk''

리눅스 네이티브와 리눅스 스왑 파일 시스템에 하드디스크 공간을 할당하기 위해 하드디스크 파티션 나누는 작업을 하지 않았다면 ``Next'' 메뉴 항목은 ``Partition a Hard Disk''가 될 것이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리눅스 네이티브와 리눅스 스왑 파티션을 이미 만들어 놓았다면, ``Next'' 메뉴는 ``Initialize and Activate a Swap Partition''이 될 것이다. 시스템 메모리가 적어서 시스템을 시작할 때 스왑 파티션을 이미 활성화시켰다면 이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 ``Next'' 메뉴가 무엇이든간에, 아래 방향 화살표키를 사용하여 ``Partition a Hard Disk''를 선택할 수 있다.

``Partition a Hard Disk'' 항목은 분할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목록을 보여주고, 파티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하드 디스크 파티션에 대하여, 장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소한 하나의 ''리눅스 네이티브'' (type 83) 파티션은 반드시 만들어야 하며 ''리눅스 스왑'' (type 82) 파티션도 최소한 하나 만드는 것이 좋다. 파티션을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면 하드 디스크 파티션에 대하여, 장 4을 다시 읽어보기 바란다.

시스템의 아키텍쳐에 따라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다르다. 아래는 해당 아키텍쳐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fdisk
오리지널 리눅스용 디스크 파티션 프로그램, 전문가용; fdisk 매뉴얼 참고.

cfdisk
사용하기 간편한 풀스크린 디스크 파티션 프로그램; cfdisk 매뉴얼 참고.

``Partition a Hard Disk''를 선택하면 이 중에서 하나가 디폴트로 실행된다. 디폴트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쉘 (tty2)로 빠져 나가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시킬 수도 있다. 그 후에 ``Partition a Hard Disk''를 건너뛰고 다음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스왑 파티션을 만들 것을 강력하게 권고하지만, 메모리가 4MB 이상이고 스왑 파티션이 필요없다는 판단이 서면 만들지 않아도 된다. 이때는 메뉴에서 ``Do Without a Swap Partition''을 선택하도록 한다.

루트 파티션에 ''Bootable'' 표시를 해 주어야 한다.


7.7 ``Initialize and Activate a Swap Partition''

디스크 파티션을 만들고 나면, ``Next'' 항목은 ``Initialize and Activate a Swap Partition''가 된다. 스왑 파티션과 관련하여 세가지 선택권이 주어질 것이다. 즉, 새로운 스왑 파티션을 초기화하고 활성화하거나, 이미 초기화된 스왑 파티션이 있을 경우 그것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스왑 파티션이 없는 상태로 계속 설치를 진행하는 것이다. 스왑 파티션은 언제든지 재초기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 단계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확실하게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Initialize and Activate a Swap Partition''을 선택하도록 한다.

대화창이 나타나면서 ``Please select the partition to activate as a swap device.''와 같은 메세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밑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앞에서 스왑 파티션으로 선택한 장치의 이름이다. 맞다면 Return을 누르면 된다.

그 다음으로 하드디스크 표면의 손상으로 인한 읽을 수 없는 디스크 블럭이 있는지 검사하기 위하여 전체 파티션을 스캔할 것인지 물어볼 것이다. MFM, RLL, 혹은 오래된 SCSI 디스크를 사용한다면 이 옵션은 유용하며, (시간이 소모되기는 해도) 절대 해가 되지는 않는다. 요즘에 생산되는 (제대로 동작하는) 하드 디스크에는 필요없는 일이다. 왜냐하면 요즘의 하드디스크는 손상된 디스크 블럭을 자동으로 표시해 주는 내부 매커니즘이 있기 때문이다.

초기화 시키면 기존에 그 파티션에 있던 데이타가 모두 파괴될 것이라는 확인 메시지가 나타날 것이다.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Yes''를 선택하도록 한다. 초기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화면으로 전환될 것이다.


7.8 ``Initialize a Linux Partition''

이제 다음 메뉴 항목은 ``Initialize a Linux Partition'' 일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디스크 파티션 나누는 과정을 완전히 끝내지 못했거나, 스왑 파티션에 관련된 메뉴 중에서 아무것도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러분은 리눅스 디스크 파티션을 초기화 시키거나, 혹은 이전에 초기화 시킨 것을 마운트할 수 있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데비안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기능이 dbootstrap에는 없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대체로 데비안은 자신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며 dbootstrap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데비안 2.1로 업그레드 하는 방법은 upgrade instructions을 참고하기 바란다.

따라서 비어있지 않은 기존의 디스크 파티션을 사용하려면 (즉, 기존에 있던 것을 날려버린다면), 기존의 디스크 파티션을 초기화하여야 한다 (모든 파일이 지워진다). 또한 디스크 파티션 나누는 단계에서 만들어진 파티션도 모두 초기화 되어야 한다. 만약, 현재의 시스템에 설치를 하다가 이 단계에서 중단한 적이 있고 그 때 사용하던 설치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하여 다시 설치를 한다면 디스크 파티션을 초기화 하지 않고 파티션을 마운트하게 될 것이다.

``Next''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 디스크 파티션을 초기화하고 마운트하게 된다. 여러분이 마운트 또는 초기화 시킨 첫번째 파티션은 / (루트라고 읽는다)로서 마운트 된다. 스왑 파티션을 초기화 할 때와 같이 불량 블럭 존재 여부의 검사를 위해서 디스크를 스캔할 기회를 제공한다. 불량 블럭을 찾기 위한 디스크 스캔 작업은 결코 해로운 것은 아니며, 다만 대용량 디스크의 경우 작업을 마치는 데 10분 이상이 걸릴 수 있다.

/ 파티션을 마운트한 후, 설치 단계를 더 수행하지 않았다면 ``Next'' 항목은 ``Install Operating System Kernel and Modules'' 일 것이다. 셋업할 파티션이 더 있다면 화살표키를 사용하여 디스크 파티션의 초기화 또는 마운트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var, /usr 혹은 다른 파일 시스템에 분리된 파티션을 할당하려 한다면, 지금 초기화하고 마운트해야 한다.


7.9 ``Mount a Previously-Initialized Partition''

``Initialize a Linux Partition'', Section 7.8 이외에 ``Mount a Previously-Initialized Partition''가 있다. 설치를 다시 시작하거나 이미 초기화된 파티션을 마운트하고자 할 때 선택하도록 한다.


7.10 ``Install Operating System Kernel and Modules''

루트 파티션을 마운트한 다음 단계는 ``Install Operating System Kernel and Modules''이다. 먼저 루트 파티션으로서 마운트된 장치가 올바른 것인지 물어볼 것이다. 그 다음, 루트 파티션에 설치할 커널을 어느 장치로부터 읽어들일 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된다. 커널과 모듈을 어느 장치로부터 읽어서 설치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초기 부팅 매체 선택하기, Section 5.1.1 참고).

로컬 파일시스템으로부터 읽어서 설치할 경우, 그 장치가 마운트 되어 있지 않다면 ''harddisk''를 선택하고, 마운트 되어 있다면 ''mounted''를 선택한다. 그 다음, 데비안 설치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파티션을 선택한다. 그러면 그 파티션의 어디에 파일을 두었는지 그 위치를 물어볼 것이다. 그 위치는 ''/''로 시작한다. 그 후, dbootstrap으로 하여금 실제 파일을 찿도록 하거나, 필요하다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하여 설치를 한다면 Rescue Floppy를 플로피 드라이브에 넣고 (아마도 드라이브에 이미 넣어져 있을 것이다), 뒤이어서 Drivers Floppy를 넣는다.

네트웍을 경유하여 커널과 모듈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nfs'' 옵션을 선택한다. 여러분의 네트웍 인터페이스는 표준 커널이 지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주변 장치와 여타 하드웨어, Section 2.4 참고). 네트웍 설정을 하지 않아서 ''nfs'' 옵션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는 ``Cancel''을 선택하여 빠져나온 후 ``Configure the Network''를 선택하여 네트웍 설정을 하도록 한다 (``Configure the Network'', Section 7.13 참고). 그 후, 다시 이 단계를 재실행하면 ''nfs'' 옵션이 보일 것이다. ''nfs'' 옵션을 선택한 후, NFS 서버 이름과 경로를 알려주면 된다. Rescue Floppy 와 Drivers Floppy 이미지를 NFS 서버의 적당한 곳에 두었다면, 그 파일에 접근할 수 있어야 커널과 모듈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설치 매체에 따라서 다른 단계를 실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7.11 ``Configure PCMCIA Support''

``Configure Device Driver Modules'' 단계에 앞서서 ``Configure PCMCIA Support''라는 단계가 있다. 이 메뉴는 PCMCIA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PCMCIA를 갖고 있으나 데비안 시스템 설치과정에서 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즉, PCMCIA 에더넷 카드의 이용), 이 단계를 수행할 필요는 없다. 설치가 끝난 후에 PCMCIA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PCMCIA 네트웍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를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이 단계를 선택하여야 한다. 그리고 네트웍 설정에 앞서서 PCMCIA를 지원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PCMCIA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면 ``Configure Device Driver Modules'' 아래의 ``Configure PCMCIA Support''를 선택한다. PCMCIA 콘트롤러가 무엇인지 물어 볼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i82365이며 일부는 tcic 이다. 잘 모르겠다면 랩탑을 구입할 때 제공되는 설명서를 보고 확인하기 바란다. 그 다음의 몇 가지 옵션은 대개 빈 칸으로 남겨두어도 된다. 어떤 하드웨어는 특별한 조건을 필요로 한다. 문제가 있다면 Linux PCMCIA HOWTO를 참고하기 바란다.

일부 비정상적인 경우에 /etc/pcmcia/config.opts의 수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때는 두번째 가상 터미날을 열어서 (Left Alt-F2) 파일을 수정한 후 PCMCIA를 다시 설정하거나 또는 insmodrmmod를 이용하여 강제로 모듈을 올릴 수 있다.

PCMCIA 설정을 제대로 한 후에는 장치 드라이버를 설정해야 한다.


7.12 ``Configure Device Driver Modules''

``Configure Device Driver Modules''를 선택하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를 찾아서 해당 드라이버를 설정하면, 시스템이 부팅될 때 메모리에 적재될 것이다.

모든 장치에 대한 설정을 이 단계에서 할 필요는 없으며, 베이스 시스템 설치에 필요한 장치만 설정해 주면 된다 (베이스 시스템 설치에 이용할 매체 선택, Section 5.1.2 참고). 에더넷 카드 드라이버가 여기에 포함된다.

설치가 끝난 후 언제든지 modconf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모듈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7.13 ``Configure the Network''

시스템이 네트웍에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네트웍 설정은 해야하지만, 이때에는 처음 두 질문에만 답하면 된다 -- ``Choose the Host name'' 와 ''Is you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여러분의 시스템은 네트웍에 연결되어 있는가)''.

네트웍에 연결되어 있다면, 미리 알아두어야 할 정보, Section 3.2에서 알아두라고 했던 정보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그 네트웍 연결이 PPP 라면 네트웍 설정을 선택해서는 안된다.

여러분이 속해 있는 네트웍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할 것이다. 그런 다음, 네트웍 정보를 요약하여 보여주면서 맞는지 재차 확인을 요구할 것이다. 그 다음에는 첫번째 네트웍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웍 장치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eth0'' (첫번째 에더넷 장치)가 될 것이다. 랩탑의 경우에는 ''pcmcia''가 첫번째 네트웍 장치일 것이다.

몇몇 기술적인 사항들이 있다.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IP 주소와 넷마스크 사이의 비트 연산(논리곱)을 통해 네트웍 IP 주소를 추측한다.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넷마스크의 1의 보수와 시스템 IP 어드레스간의 비트 연산(논리합)을 통해 추측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DNS 서버로 간주한다. 위의 사항들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면, 제시하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설치가 끝난 후에도 필요하다면 /etc/init.d/network 파일을 수정하여 이들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데비안 시스템에서는 /etc/init.d/에 있는 스크립트에 의해 데몬들이 실행된다.)


7.14 ``Install the Base System''

설치할 베이스 시스템을 어느 장치로부터 읽어들일지 선택하는 메뉴가 제공되며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베이스 시스템 설치에 이용할 매체 선택, Section 5.1.2 참고).

하드디스크 또는 시디롬을 선택한다면 base2_2.tgz이 있는 경로를 물어볼 것이다. 공식 설치 매체를 이용한다면 디폴트로 주어지는 경로를 사용하면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정확한 경로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 ``Install Operating System Kernel and Modules''에서 처럼 dbootstrap으로 하여금 파일을 찾도록 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하여 설치한다면, dbootstrap이 요청에 따라 베이스 플로피를 차례대로 넣는다. 베이스 플로피중 하나를 읽어들일 수 없으면 대치할 플로피를 만들어야 하며, 플로피를 처음부터 다시 순서대로 넣어야 한다. 모든 플로피를 읽은 후, 읽어들인 파일은 설치될 것이다. 느린 시스템에서는 이 과정이 10분 이상 걸릴 수 있다.

NFS를 이용하여 설치한다면, 서버 이름과 공유 디렉터리 그리고 base2_2.tgz이 있는 서브디렉터리를 물어볼 것이다. NFS를 마운트하는데 문제가 있다면 NFS 서버의 시스템 시간과 클라이언트 (현재 데비안을 설치하고 있는 시스템)의 시스템 시간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보도록 한다. 시간을 맞추려면 tty2에서 date 명령을 이용하도록 한다. 사용법은 date(1) 맨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7.15 ``Configure the Base System''

이 단계에서는 최소한의 데비안 시스템 유지에 필요한 파일을 읽어들인다. 하지만, 시스템이 실행되기 전에 미리 설정해 둘 것이 있다.

여러분이 속해 있는 시간대 (time zone)를 물어볼 것이다.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지만 ``Directories:'' 메뉴로 가서 여러분의 나라 (또는 대륙)를 선택하도록 하자. 그러면 가능한 시간대로 바뀐다. 계속해서 ``Timezones:'' 메뉴에서 여러분의 지정학적 위치 (즉, 나라, 주 또는 도시)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시스템 시간을 GMT로 할지 또는 현재 여러분의 지역 시간으로 설정할 것인지 물어볼 것이다. 시스템에서 리눅스나 유닉스만을 운영 체제로 사용할 것이면 GMT를 선택하고 (``Yes''), DOS나 윈도즈 같은 다른 운영 체제도 같이 사용할 것이라면 지역 시간을 선택한다 (``No''). 유닉스나 리눅스는 시스템 시간을 GMT로 설정하고 이를 지역 시간대로 변환하여 보여준다. 이것은 일광 절약 시간(써머 타밍)과 윤년을 지원하며 다른 시간대에서 로그인한 사용자 개개인이 그들의 터미널에서 사용할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게끔 해준다.


7.16 ``Make Linux Bootable Directly From Hard Disk''

하드디스크에서 직접 리눅스로 부팅하고자 한다면, 마스터 부트 레코드에 인스톨할 것인지 물어볼 것이다. 부트 매니저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그리고, 부트 매니저가 무엇인지에 대해 모르는 경우라면) 그리고 같은 머쉰에 또다른 운영체제가 없다면, 이 질문에 ``Yes''라고 답변한다. 예를 들어, 같은 머쉰에 도스가 있다고 하자. ``Yes''라고 답변하면 도스로 부팅할 수 없을 것이다. 주의하기 바란다. ``Yes''라고 답변했다면, 시스템을 켤 때 하드 디스크로부터 자동으로 리눅스를 부팅시킬지 물어볼 것이다. 이것은 리눅스를 bootable partition으로 지정한다 -- 하드디스크로부터 리눅스가 로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머쉰에서 다중 운영체제를 각각 부팅시킨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서 여러가지 부트 매니저에 대해 설명하지는 않겠다. 자세한 것은 각 부트 매니저의 설명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부트 매니저를 이용한다면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i386의 표준 부트 로더는 ''LILO''이다. 이것은 도스, NT, OS/2 부트 관리를 포함한 많은 기능을 갖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특별히 필요한 것이 있다면 /usr/doc/lilo/ 디렉터리의 설명서를 읽어보기 바란다. 또한 http://metalab.unc.edu/LDP/HOWTO/mini/LILO.html도 참고하기 바란다.

이 단계를 건너뛸 수도 있다. 나중에 리눅스 fdisk 명령어 또는 activat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팅 가능한 파티션을 지정할 수 있다. 문제가 생기거나 도스로 부팅할 수 없게 된다면 도스용 부트 디스크를 사용하여 도스로 부팅한 후, fdisk /mbr 명령으로 도스 부트 블럭을 재설치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데비안으로 다시 부팅하려면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7.17 ``Make a Boot Floppy''

하드디스크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해도 부트 플로피를 만들어야 한다. 그 이유는, 하드 디스크 부트스트랩은 잘못 설치될 가능성이 있지만 부트 플로피는 특별한 일이 없는 한 항상 작동하기 때문이다. ``Make a Boot Floppy''를 선택하고, 지시하는 대로 빈 플로피 디스크를 넣어준다. 플로피에 쓰기 방지 탭이 붙어 있지는 않는지 확인하기 바란다. 플로피는 포맷된 후 쓰기를 시작할 것이다. 이 플로피에 '부트 디스크' (Custom Boot)라고 써붙이고, 쓰기 방지 탭을 붙이도록 한다.


7.18 진실의 순간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 시킬 차례다. 플로피 드라이브에서 플로피 디스크를 빼고, ``Reboot the System'' 메뉴를 선택한다. 리눅스 시스템이 시작되지 않으면, 설치 매체 (예를 들면, Rescue Floppy) 또는 전 단계에서 만든 부트 플로피 (Custom Boot floppy)를 넣고 시스템을 리셋시킨다. 부트 플로피로 부팅하는 것이 아니라면 부팅시 입력해 주어야 할 것이 있다. Rescue Floppy 또는 비슷한 방법으로 부팅한다면 rescue root=root라고 적어준다. 여기서 root는 ''/dev/sda1'' 과 같이 여러분이 선택한 루트 파티션을 말한다.

데비안으로 부팅되어야 한다. 설치 시스템으로 처음 부팅할 때 보았던 메세지를 볼 수 있을 것이고 뒤이어서 일부 새로운 메세지도 볼 수 있을 것이다.


7.19 루트 비밀번호 설정 (Set the Root Password)

root 계정을 수퍼 유저 (super-user)라고도 한다. 이 로그인은 시스템의 모든 보안 방지 장치를 통과할 수 있는 전지전능한 것이다. 루트 계정은 시스템 관리에만 이용되어야 하고, 가능한 짧은 시간 동안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든 비밀번호는 6-8자로 구성되어야 하고, 대소문자와 특수 문자도 섞어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루트의 강력한 권한을 고려하면, 루트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때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사전에 있는 단어 또는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비밀번호로 설정하면 누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루트 비밀번호를 알려달라고 한다면, 극히 조심해야 한다. 여러명이 시스템 관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절대 루트 비밀번호를 가르쳐 주어서는 안될 것이다.


7.20 일반 사용자 계정 만들기

일반 사용자 계정을 만들 것인지 물어볼 것이다. 이 계정은 개인적인 로그인을 위한 것이다. 일상적인 또는 개인적인 목적으로 루트 계정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왜 안되는가? 루트의 권한을 사용하지 말라는 한가지 이유는 치유 불가능한 손상을 입기 쉽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의 트릭에 걸려들지 않기 위함이다.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은 여러분이 모르는 사이에 시스템의 보안을 해제하고 수퍼 유저의 권한을 이용하려는 프로그램이다. 유닉스 시스템 관리에 대한 서적은 이에 대해서 더 자세히 다루고 있다. 잘 모르는 내용이라면 한 번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일반 사용자 계정에 붙일 이름은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여러분의 이름이 Jone smith 이고, 자신의 이름을 이용하여 계정 이름을 짓는다면 ''smith'', ''john'', ''jsmith'', ''js''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7.21 Shadow Password Support

쉐도우 패스워드 (shadow passwords)를 사용할 것인지 물어볼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여러분의 리눅스 시스템 보안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다. 쉐도우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은 /etc/passwd 파일에 저장된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읽을 수 있다. 이 파일에는 또한 반드시 필요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로그인 할 수 있는 사용자는 누구나 이 파일을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누군가가 /etc/passwd을 빼내서 비밀번호를 알아내려고 할 수도 있다.

쉐도우 패스워드를 사용하다면, 비밀번호는 /etc/shadow 파일에 저장되며 루트만이 오로지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쉐도우 패스워드를 사용할 것을 권하는 것이다.

shadowconfi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쉐도우 패스워드 시스템을 재설정할 수 있다. 더 자세한 것은 /usr/doc/passwd/README.debian.gz 파일을 참고하기 바란다.


7.22 PCMCIA 제거

PCMCIA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제 그것을 제거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좀 더 깨끗하게 시작할 수 있고, 커널을 교체하기도 더 쉽게 된다 (PCMCIA 드라이버의 버전과, 커널 모듈, 커널 사이에 많은 상호 연관이 있다).


7.23 프로파일의 선택과 설치

데비안에서 제공하는 pre-rolled 소프트웨어 설정을 사용할 것인지 물어볼 것이다.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를 하나씩 선택할 수도 있다. 이것이 dselect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그러나 데비안에서 제공하는 2250 여개의 패키지를 고려해 보면 만만한 작업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패키지를 하나씩 선택하는 대신에 태스크 (tasks) 또는 프로파일 (profiles)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태스크는 ''Perl 프로그래밍'', ''HTML 문서 작성'', ''워드 프로세싱''과 같은 작업을 말한다. 프로파일이란 여러분 컴퓨터의 용도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네트웍 서버''로 사용될 것인지, 또는 ''개인용 웍스테이션''으로 사용될 것인지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단지 하나의 프로파일만 선택할 수 있다.

투자할 시간이 넉넉하지 않다면 프로파일을 하나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시간이 충분하다면 Custom 프로파일을 선택하여 태스크를 하나씩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시간이 남아돌고, 패키지의 설치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하고자 한다면 이 단계를 건너뛴 후, dselect를 이용하면 좋을 것이다.

이제 곧 dselect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태스크나 프로파일을 선택했다면, dselect를 사용할 때 ''Select'' 단계를 건너뛰어야 한다. 태스크 또는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것이 ''Select''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각 태스크의 크기는 그 태스크에 포함되어 있는 패키지를 모두 합한 것이다. 여러분이 두 가지 태스크를 선택하였고, 일부 패키지가 그 두가지 태스크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면, 실제 필요한 디스크 용량은 두 태스크를 합한 크기보다 적을 것이다.

루트 계정과 일반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나면, 여러분은 dselect 프로그램 속으로 떨어질 것이다. dselect를 실행하기 전에 dselect Tutorial를 읽어보는 것이 좋다. dselect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설치할 패키지를 선택하게 된다. 데비안 패키지가 들어있는 시디롬 또는 하드디스크가 있거나 여러분의 시스템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이 프로그램을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현재 단계에서 dselect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시간이 지나서 조건이 충족되면 다시 dselect를 실행 시킬 수 있다. dselect를 실행 시키려면 수퍼 유저 (root) 이어야 한다.


7.24 로그인 (Log In)

dselect를 종료하면 로그인 프롬프트가 나타날 것이다. 여러분이 만든 개인용 계정과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로그인 하도록 한다. 이제 시스템을 사용할 준비가 다 된 것이다.


7.25 PPP 설정

NOTE: 시디롬으로 설치하거나 네트웍에 직접 연결된 경우에는 이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 네트웍이 아직 설정되지 않았다면 설치 시스템이 이 정보를 물어볼 것이다.

베이스 시스템에는 ppp가 들어있다. 이 패키지를 이용하면 여러분이 가입해 있는 ISP에 PPP 연결을 할 수 있다. 기본적인 PPP 설정 방법을 아래에 설명한다. 부트 디스크에 PPP 설정을 도와줄 pppconfig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그 프로그램이 다이얼업 연결의 이름을 물어볼 때, ''provider''라는 이름을 붙이도록 하자.

pppconfig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별 다른 어려움 없이 PPP 설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지만, 만일에 잘 되지 않는다면 아래에 설명할 방법을 참고하기 바란다.

PPP를 설정하려면, 리눅스에서 파일을 읽고 편집하는 기초를 갖추어야 한다. 파일을 읽으려면 more를 사용하고, .gz 확장자를 가진 압축 파일은 zmore를 이용하면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EADME.debian.gz을 읽으려면 zmore README.debian.gz 라고 입력하면 된다. 베이스 시스템은 두 가지 에디터를 제공한다. 사용하기는 간단하지만 기능은 별로 없는 aeelvis-tiny라는 기능이 제한적인 vi를 제공한다. nvi, less, emacs와 같은 모든 기능을 갖춘 에디터와 뷰어는 나중에 설치할 수 있다.

/etc/ppp/peers/provider을 에디터로 열어서 ''/dev/modem''을 ``/dev/ttyS#''으로 바꾼다. 여기서 #는 시리얼 포트 번호를 의미한다. 리눅스에서 시리얼 포트는 0에서 시작한다. 즉 리눅스에서 첫번째 시리얼 포트는 (즉, COM1) /dev/ttyS0이다. 다음 할 일은 /etc/chatscripts/provider 파일을 열어서 PPP 연결에 이용하는 전화번호, user-name, 비밀번호를 적어 넣는 것이다. 비밀번호 앞의 ''\q''를 지워서는 안된다. 이것의 역할은 로그 파일에 패스워드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PPP 연결에서 로그인 과정에 PAP 또는 CHAP이 이용된다. PAP 이냐, CHAP 이냐에 따라서 과정이 달라진다. /etc/chatscripts/provider 파일에서 (''ATDT''로 시작하는) 다이얼링 스트링 이하의 모든 주석 처리를 지우고, 위에서 설명한 대로 /etc/ppp/peers/provider 파일을 수정하고 user name을 추가한다. 여기서 name은 PPP 연결에 사용하는 user-name을 말한다. 이제 /etc/pap-secrets 또는 /etc/chap-secrets 파일을 열어서 비밀번호를 적어 넣는다.

/etc/resolv.conf 파일을 열어서 ISP의 네임 서버 (DNS) IP 주소를 추가해 주어야 할 것이다. /etc/resolv.conf 파일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한 줄 추가해 주면 될 것이다: nameserver xxx.xxx.xxx.xxx. 여기서 x는 IP 주소를 구성하는 숫자를 의미한다.

ISP에서 사용하는 로그인 과정이 특별히 다르지 않은 이상, 더 이상 해야 할 일은 없다. 루트의 권한으로 pon을 실행시켜 PPP 연결을 할 수 있으며 plog 명령으로 그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연결을 끊으려면 루트의 권한으로 poff를 실행시킨다.


7.26 나머지 설치 과정

데비안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 설치에 대한 정보는 dselect Tutorial에 있다. 태스크와 프로파일을 이용한다면 dselect에서 ''Select'' 단계를 건너 뛰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프로파일의 선택과 설치, Section 7.23 참고).


[ 이전 ] [ Abstract ] [ 저작권 ] [ 차례 ] [ 다음 ]
데비안 GNU/리눅스 2.1 설치 (Intel x86)
version 2.1.11, 26 June, 1999
Bruce Perens
Sven Rudolph
Igor Grobman
James Treacy
Adam Di Car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