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net, jag har tappat mitt minne, r jag svensk eller finne, kommer inte ihg..." (Bosse sterberg)
"기억, 나는 내 기억을 잃어버렸어, 내가 스웨덴 사람인지 핀란드 사람인지, 생각나지 않아... " (Bosse 賴terberg)
여기서는 리눅스 메모리 관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가상 메모리와 디스크 버퍼 캐쉬와 같은 내용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메모리 관리가 필요한 이유와 그에 필요한 작업들, 그밖에 시스템 관리자로서 관심을 가져야 할 여러 주제들을 설명할 것이다.
리눅스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란 것을 지원한다. 이것은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디스크의 일부를 마치 확장된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따르면, 커널은 실제 메모리(RAM)에 올라와 있는 메모리 블록들 중에 당장 쓰이지 않는 것을 디스크에 저장하는데, 이를 통해 사용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훨씬 늘릴 수 있게 된다. 만일 디스크에 저장되었던 메모리 블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면 그것은 다시 실제 메모리 안으로 올려지며, 대신 다른 블록이 디스크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전혀 보이지 않으며, 프로그램들에게도 그저 많은 양의 메모리가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어서, 점유하고 있는 메모리가 디스크에 있는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를 읽고 쓰는 시간은 RAM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보통 천배쯤 느리다), 프로그램의 실행은 그만큼 더디게 된다. 이렇듯 가상적인 메모리로 쓰이는 하드디스크의 영역을 `스왑 영역(swap space)'이라고 한다(swap은 바꿔치기를 한다는 뜻).
리눅스는 스왑 영역으로 일반적인 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스왑을 위한 파티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왑 파티션은 속도가 빠른 반면에, 스왑 파일은 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또한 스왑 파일을 사용하면, 리눅스 설치시에 파티션을 다시 해야 할 필요없이 모든 것을 그냥 설치할 수 있다). 스왑 영역이 얼마나 많이 필요한지를 미리 알고 있다면 그만큼 스왑 파티션을 잡으면 된다. 그러나 스왑 영역이 얼마나 필요할지 확실히 모른다면, 우선 스왑 파일을 사용해서 시스템을 가동해 보고 필요한 공간이 얼마인지 파악한 후에 스왑 파티션을 잡도록 하자.
또한 리눅스에서는 여러개의 스왑 파티션과 스왑 파일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언제나 큰 용량의 스왑 영역을 잡을 필요없이 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만 스왑을 늘려줄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운영체제 용어에 관한 이야기 : 컴퓨터 과학에서는 스와핑(해당 프로세스 전체를 스왑 영역으로 내보냄)과 페이징(몇 킬로바이트의 작은 단위로 내보냄)을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에서 페이징이 좀더 효율적인 방법이며, 리눅스에서도 이 방법을 쓴다. 그러나 전통적인 리눅스 용어로는 이 두가지를 모두 뭉뚱그려서 스와핑이라고 흔히 불러왔다. [1]
[1] | 그러니 이런 문제로 쓸데없이 컴퓨터 과학자들을 괴롭히지 말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