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피아
넷피아 직원의 익명 포스팅이 자주 일어나서 별도의 섹션을 만들었습니다. 넷피아 직원 분들은 정확한 섹션에 글을 남겨주십시요. 그렇지 않은 글에 대해서는 반달행위로 규정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1.2. 비표준? ¶표준에 의하면 자국어 인터넷 주소는 (예 : 한국인 경우) http://한글.kr 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같은 이유로 중국인 경우 http://中文.cn 이 되어야 하고, 그 외의 언어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넷피아는 http://한글 의 형태 (비표준) 을 사용함으로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1.3.1. 비표준 영업의 구체적인 실태 ¶혹자는 Microsoft Windows 레지스트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여 (관련 기사는 QAOS 에 있습니다.) 영업한다고도 하고, 혹자는 DNS 를 매수하여 영업한다고도 하는데 리눅스에서 동작하지 않음으로 보아 전자의 의견이 합당해 보인다. 그러나 필자 (cppig1995) 의 실험 결과, QAOS 기사대로 하여 보아도 검색은 자동 검색 사이트가 바뀌지 않음으로 보아 미스테리에 싸여 있다.
1.3.2. 최근 밝혀진 새로운 사실 ¶필자의 자체 조사에 의하면 넷피아는 레지스트리를 조작하는 것 같다. Microsoft Internet Explorer 에서, 주소를 입력하면 그 주소 다음에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기록 (History) 속 정보를 표시한 뒤 마지막으로 검색 이라는 항목이 있다. 이 것을 클릭하면 바로 넷피아 자체 LookUp 사이트로 넘어가는 것으로 보아 레지스트리 조작일 확률이 높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레지스트리를 따라 자체 자동 검색 엔진으로 넘어가야만 한다. DNS 매수로 추측할 때 타 브라우저에서 동작하지 않으므로 DNS 매수의 가능성은 배제하자.
1.3.3. 그러나 사용자들은... ¶여전히 DNS 매수의 가능성이 남아 있는 이유는 최근 KLDP BBS 의 글타래 중에 "예전에 넷피아 영향을 받지 않는 DNS 주소가 공개되었었다." 라는 답글 때문이며, 그 탓에 여전히 조사를 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1.5. 한마디 더 ¶지난번에는 CHOL 과 합동영업을 하더니 이번엔 파란이다. 오늘 또 조사해 보니 한/글이 깔린 C:\HNC 폴더에 "Netpia" 폴더가 있고 그 안에 넷피아 스파이웨어 서버가 붙어 있다. 이제부터 파란과 한/글은 쓰지 말아야겠다. CHOL 은 심파일 때문에 할 수 없이 쓴다.
넷피아는 kT망
디지털네임즈는 하나로(두루넷)
다른 하나는? ad웨어로?
2. 넷피아 찬성 ¶안녕하십니까. 넷피아 입니다.
오래 전에 적으신 글이지만, 정확한 내용을 안내하고자 답변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먼저 한글주소는 모든 인터넷사용자들이 영문도메인보다 한글명칭을 이용한다면 좀 더 편리할 것이라는 생각에 넷피아에서 개발, 시작한 서비스입니다.
때로,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자체보다 표준, 비 표준에 대한 것들이 더 중요하게 부각되는 경우가 있는데, 표준이란 산업이 발달하면서 편리한 서비스를 위해 정부단체, 국가기관에 의해 표준이 설립되기도 하고, 사용자들의 수요/요구에 따라 시장에서의 표준화가 먼저 이루어진 후, 표준방식으로 채택되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넷피아는 정보통신단체표준을 따르고 있으며, 2010년 상반기에는 한글인터넷주소의 실질적인 시장 통일을 통해 시장에서의 표준(defacto standard)을 이루었습니다.
무엇보다도 한글인터넷주소가 보다 편리한 인터넷생활을 위한 것이라는 본질적인 부분을 바라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의 글들에서 논의된 내용들에 대해 좀 더 상세히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 넷피아 한글인터넷주소는 TTA표준방식에 따라 네임서버를 통해 제공됩니다 .
▶http://한글은 비 표준 방식이 아닙니다.
넷피아에서 제공하는 한글주소 서비스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 방식으로 DNS 네임서버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기본적으로 통신사 제휴를 통해 DN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플러그 인은 툴바나 악성프로그램을 통해 한글인터넷주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를 보완해주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2.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는 시장의 실질적 표준(defacto standard)을 이루었습니다.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는 KT 뿐만 아니라 국내 대부분의 통신망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는 2010년 4월 1일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통신)와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정’을 체결함으로써 KT, LGU+ 등 주요 통신망뿐 만 아니라, 티브로드, C&M, HCN 등 60여 주요 ISP와 69개의 케이블 방송, 1,800여 기업, 대학, 기관 등이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에 동참하게 되어 국내 인터넷 사용자의 대부분이 한글인터넷주소를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또한 지난 2월 국내 주요 통신사와 함께 “안전한 인터넷, 편한 인터넷, 바른 인터넷 환경을 위한 한글인터넷주소 활성화 선언식”을 갖고 올바른 인터넷 환경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한글인터넷주소 도우미 프로그램은 고객의 편의를 위해 제공됩니다.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 도우미는 악성프로그램과 달리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쉽게 삭제가 가능합니다. 도우미프로그램은 원활한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를 위해 제공 되었습니다만 과거, 프로그램 오류 등으로 일부 불편함을 제공했다면 죄송합니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자국어인터넷주소 체험 기능을 추가하여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한글인터넷주소 도우미를 사용을 원하지 않으시면 제어판 → 프로그램추가/제거 → 한글인터넷주소 도우미 제거 순으로 프로그램의 삭제가 가능합니다.
2.2. 넷피아 직원 의견 ¶http://한글.kr 은 IDN(우리말로 하면 국제도메인네임)의 특징은 영문기반의 도메인으로 인한 비영어국가들과의 정보격차 해소와 요구에 의해 만들어 졌습니다. 재밌는 것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처음 테스트 되었다는 것입니다. (사실 CJK)가 뭔지 처음엔 어리둥절했습니다. IETF 의 스펙에 의하면 IDN은 어플리케이션에서 UTF8의 글자를 퓨티코드로 변환해 줍니다.(예:퓨니코드 -> xn--9i1bl3b186bf9e) 이러한 특징에 의해 아스키코드만을 인식하는 DNS 기반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기존의 DNS 시스템상에서 UTF8을 사용할 수 있게 하자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가까운 장래에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글 쩜 KR 이런식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입력에 불편한 것이 사실이고, IDN을 사용하기 위해선 IE7 나오기 전까지(이미 베타 시리즈도 막바지군요)는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과 같이 IDN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합니다.
Verisign에서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받아, 현재, Root Sever를 이용하여, NS-Record 방식과 DName에 대한 방식에 대해 테스트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http://한글.한글의 사용이 가능해지리라 생각합니다.
보안이슈를 살펴보면 IDN은 피싱에 악용될 소지가 있습니다. xn-- 형태로 되어있는 도메인을 알아볼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IDN 이슈의 살펴보면 근본적인 문제는 언어에 있다는데 있습니다. 가령 아랍어의 경우 글자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여지기 때문에 이를 IDN으로 변환할 경우 글자가 오른쪽에서 갑자기 왼쪽으로 바뀌는 현상을 볼 수 있고, 한나라에서 여러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경우, 또 같은 모양을 가지고 있으나, 뜻이 다른 낱말, 예를 들어, .com, .net은 간체 번체 구분을 하지 않지만, .org는 같은 것으로 판단함). 등과 같은 이슈들이 각 Ry에서 정책이 결정되기 때문에 시행을 하다라도 많은 난관을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 한가지 생각해 볼 것은 IDN 이 활성화 된다면, 과연 이게 국제적으로 통용되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결국 자국내 국지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렇게 된다면 넷피아나 그 이외에 키워드 서비스를 하는 업체등과의 사용영역상의 차이는 없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이스라엘과 중국에서는 이미 넷피아와 같은 서비스에 대한 움직임이 있습니다.
결국, 국내를 볼때, 한글이라는 좋은 아이템을 놓고, 포털이나, MS나 넷피아 중 어느 곳에서는 이러한 시장에 대한 싸움은 계속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비표준이라고 해서 이러한 서비스를 버려야 할까요? 아닙니다. 잘 다듬어 우리가 표준을 만드는게 좋지 않을까요?
결국 다 소용없다고 생각됩니다만........ -- bubicom 2006-05-03 17:22:23
키워드 서비스와 도메인 서비스는 다른 것입니다. 하이잭킹하는 방식의 도메인 서비스에 대해 MS나 기타 업체들이 소송을 할 경우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 CN 2006-05-22 02:06:13
영문주소만 가능한 인터넷 주소창을 한글주소도 가능하게 불모지를 10년간이나 개척한 개척자와 그것을 무임승차하여 사회적 국가적 혼란을 일으키는 업체를 같은 업체로 취급하는 것만큼은 말아주시길 당부드립니다.
01.불모지에서 새로운 도전정신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 프론티어가 존경받고(First Mover Advantage) 국가적으로 이익이 되는 보호받아야 할 가치가 있는 새로운 가치창조는 보호되어져야 합니다.
13. 도로를 개척한 프런티어는 그 도로를 이용한 생업을 이어가고 있는 그 도로변에 입주한 수십만 가게를 지킬 도의적 의무가 있습니다.
14.이것은 프런티어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닌 수십만의 이용자의 피해를 방지하는 공익적 성격이 매우 강합니다.
결론
32.넷피아의 주장은
10년간 한글주소를 개척하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을 겪고 한글주소에 이어 자국어주소로 발전시키고 있는 250여명의 넷피아 직원과(해외법인 미국/일본 지사, 유럽, 중국)
33.직원수 6-7명으로 너무 쉽게 중간가로채기로 수억의 부당이득을 보고 있는 업체가 싸우니까
한글 주소를 10년이나 개척한 개척자와 그것을 무임승차하고 한글주소를 혼동에 빠트려 일반대중이 엄청난 피해를 오게한 업체를 같은 업체로(과당경쟁) 간주하여 기소한 것은
37.10년이나 공들여 한글주소를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노력한 프런티어의 피나는 노력들을 물거품으로 만들고 말았습니다.
누군가 새로운 도전을 하고 그것이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가치창조적 일이고 이천만이 넘는 일반대중이 이미 이용하는 서비스라면 그것이 비록 여러 억울한 사정에 의하여 아직 국도로, 지방도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그것을 아무노력도 하지 않은 중간가로채기 업체와 같이 취급을 말아 달라는 소박한 소망입니다.
39.이런 소망이 대한민국에서 무참히 짓밟히게 된다면 수많은 젊은이들이 이런 보호막 없는 나라에서 자신의 꿈을 펼치기 위해 모험적 도전을 하지 못하게 할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자국어(한글)인터넷주소, 4월 22일부터 터키와 일본에서 동시에 사용가능
넷피아는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의 전세계 95개국 자국어인터넷주소 글로벌시스템 구축과 시범서비스를 성공리에 마치고 정보통신의 날인 오는 4월 22일부터 한국, 터키, 일본에 우선적으로 자국어인터넷주소 동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이번 자국어인터넷주소 동시 서비스는 한국에서 등록된 한글인터넷주소가 일본이나 터키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역으로 일본이나 터키에서 등록된 자국어인터넷주소가 한국에서도 서비스 되는 것입니다.이는 한국에서 개발, 보급한 자국어인터넷주소가 전세계 모든 국가에서 동시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되기 위한 첫발을 내디딘 것이며, 그 가능성을 현실화한 것입니다.
현재 넷피아는 지난 2003년 대구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계기로 이미 95개국 언어로 된 자국어인터넷주소를 시범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시 말해 한글만이 아닌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95개국 언어의 자국어인터넷주소 시범서비스를 지난 3년간 실시하여 시스템적인 검증이 완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이제 넷피아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의 글로벌시스템 구축에 따라 어느 나라에서든 한번만 등록하면 전세계 어디에서나 서비스되는 영문도메인(www.netpia.com)과 같이 자국어인터넷주소를 해당 국가에서 등록하면 전세계에서 어디에서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되는 것입니다. 향후 글로벌시스템이 전세계 95개국 모두 반영되면 해외에 거주하는 해외동포는 물론 해외 출장중인 경우에도 한글입력이 가능한 시스템일 경우 한국에서 등록된 50만개 이상의 한글인터넷주소를 통해 웹사이트를 쉽고, 편하게 찾아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넷피아는 창립 11주년인 올해 안으로 자국어인터넷주소 15개국 동시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으며, 인터넷주소의 역사에 기록될 ‘한국에서 만든 자국어(한글)인터넷주소 모델이 전세계 각국의 자국어인터넷주소 동시 서비스가 시작되는 해’로 만들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 211.35.72.130 2006-05-16
|
You can do very well in speculation where land or anything to do with earth is concern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