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k Park
wkpark at kldp.org
GnomeKorea의 #gnome채널에 출몰. KLDPWiki
잡담 ¶KLDPNet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은 뭘까 ? 내가 생각해도 그다지 활동이 많지 않았는데, 10명도 안되는 분들의 높은 점수에 힘입어 "가장 활동이 많은 사용자"가 되었다. 보이지 않은 곳에서 나보다 열심히 오픈소스를 위해 노력하척?분들에게 송구스러울 따름... 그런데, 10명이 넘게 투표를 받은 사람이 거의 없다니... KLDPNet을 활성화하는 어떤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것일까 ?? 2003-12-26
요즘은 거의 위키위키만 씁니다
위키위키를 불편하고 어렵다고들 하지만, 어느정도의 진입장벽을 넘으니 이제는 위키위키만
고집하게 되었습니다. 위키위키가 일반 게시판에 비해 좋은 점을 꼽으라면 다음과 같습니다.
Dear WkPark (문두삽입방식) ¶조합벌수 구성에 대한 글은 거의 90%는 제가 현재 개발중인 운영체제에서의 한글처리에 대하여 코드를 정리하면서 작성했던 글입니다. 많은 구성을 해봤는데 폰트에 따라서 어색한 부분이 느껴져서 그렇게 결정하고 소개한겁니다. 물론 표준이라고 할수는 없겠지만 표준이 아니라면 제안을 하고 싶은 구성입니다. 한글을 보다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저의 짱구굴리기에서 나온 겁니다. 여러가지 구성이 분명히 다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고 그것에 대해서 저는 저만의 구성을 적었다고 해야 겠네요. 물론 Linux의 한글화에 도움을 준적은 한번도 없고 이런 벌수 구성에 대해서만 얘기하고 한글화 작업을 하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서 죄책감이 들고요. 기존에 있는 방식에 대해서 바꿔야 한다는 얘기할 자격은 없네요. 그냥 지워주시고 나중에 제가 벌수 구성의 종류별로 어디가 어떻게 어색한지를 그리고 좋은점을 정리해서 올려보겠습니다. - minzkn
자격 논할만한 얘기는 아닙니다 ^^;; 실례를 했다면 죄송하고요.
개발하여 글꼴 그 자체를 만드는 것에는 찬성합니다만, 8x4x4 혹은 10x4x4 등등의 한텀에서 쓰이던 조합 글꼴을 일반 어플에 적용할 때에 글꼴 라이브러리를 필요로 하게 하는 방식은 X윈도우즈 혹은 일반 프로그래밍하기로는 부적절 하다고 봅니다. embeded 시스템에는 그런 개발법을 쓰ㅓ도 상관 없겠지만요. 8x4x4조합 비트맵 글꼴을 윤곽선 TrueType글꼴로 변환하는 방법을 ![]() ![]() 원규님의 말씀은 분명히 맞습니다. 때문에 저는 제가 제안한 벌수를 고집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코딩의 자유로움을 택했습니다. 자동으로 벌수 조합을 검사하는 거지요. 때문에 벌수 조합이 어떤것이든지 제가 개발중인 운영체제에서는 중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그것을 검출할수 있는지는 나중에 공개시점에서 설명하겠고요. 단지 고정적인 관념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벌수 조합은 자유롭게 하되 그중에 택하라면 6x10x4를 택한겁니다. 제가 생각하는 관점은 고정관념 탈피라는 지극히 개인고취적인 생각입니다. 그리고 32x11x11조합은 제 운영체제에서 아직 지원못할거 같군요. 조합의 검출 규칙에서 벗어나는군요. 흐흐... 시간이 되신다면 32x11x11의 조합규칙좀 문서화 해준신다면 엄청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minzkn
UTF-8패치는 임현택님 것을 보고 고쳐 본 것입니다.
![]() ![]() 혹시 Wiki문서를 DocBook으로 변환하는 Tool이 어떤게 있을까요? 나름대로 찾아본다고 노력했건만 검색 능력이 안되서 질문 드립니다. - minzkn
Please see http://doc.kldp.org/wiki.php/WkPark?action=format&mimetype=text/xml
위처럼 하면 그냥 텍스트가 나오는데 DocBook으로 나오는 건 안~되나요? --HoSungKim 2003-09-24
그냥
?action=raw 를 이용하면 됩니다. 모인모인에 있는 기능이죠.
메일로 문의 드릴려니 좀 그래서.. 이렇게 글 씁니다. 제가 1.0.2를 쓰다가 1.0.4로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한글로 된 페이지를 만들고 바뀐글을 보니. 인코딩된 링크가 보였습니다. 그래서 CVS(아래 링크)를 보고 get_title 부분을 주석처리하고 종전의 방식으로 바꿨습니다. 그랬더니 잘 보였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그리고 기능상에는 문제가 없는지 알고 싶습니다. 다른 설정 문제라면 그것또한 알고 싶습니다. --이상훈
![]() get_title()은 영문 WikiName을 띄어쓰기 해주는 부분입니다. 보여주는 부분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1.0.2에서 log를 잘 못 저장하기 때문에 그러는 것은 아닌지 추측해봅니다. --WkPark
log 라고하는 것은 $editlog_name=$data_dir.'/editlog'; 이것을 말하는 것입니까? 페이지를 만든 시점은 1.0.4로 업그레이드 한 후였습니다. 참, 그리고 업그레이드 방식은 특별히 읽은 문서가 없어서 그냥 $cp postUpgrade/plugin preUpgrage/plugin 와 같은 방식으로 하였습니다. 물론 data 디렉토리와 pds 디렉토리를 제외한 부분들 입니다. =) 괜히 귀찮게 구는것 같군요. --이상훈
헛 정신이 없군요 제가.. 어떤 식으로 잘못된 것이 보여진다는 것인지를 제가 보면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도 1.0.4이니 여기에 테스트 해 보시면 제가 지우면 되니까요. --WkPark
이것저것 찾다가 리눅스설치하기 페이지에서 타이틀을 눌러 백링크를 찾아보니 페이지 이름 띄어쓰기 밖에 나오지 않더군요. 이상하다 싶어 다시 보니 "리눅스 설치하기"로 찾아줘야 제대로 찾아지는 페이지들이 대다수네요. 페이지 이름 띄어쓰기 페이지랑 노스모크까지 주욱 둘러보고 나니, 지금 KLDPDoc에서 쓰는 한글 페이지 이름 띄어쓰기 방식이 어떤 내역을 거쳐 형성된 것인지는 대강 알겠습니다만, 정작 페이지 타이틀 백링크 검색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는 해법이 없는 것인가요? -- verotas
역링크를 찾는 방법은 두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하나는, 페이지 내용을 모두 서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페이지 내의 링크(역링크)만 서치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띄어쓰기 문제로 기존의 방법으로 서치하려면 지적하신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죠. 서치 알고리즘을 개선해서 띄어쓰기가 된 내용도 잘 찾을 수 있게 하거나 해야겠네요. --WkPark
MoniWiki 1.0.7에서 블로그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제가 블로그 페이지를 만들어서 댓글을 달아보니 댓글이 글 아래애 나오지 않고 1 comment라고 링크만 걸리네요.
http://kldp.org/~kss/wiki.php/GuestBook 여기에는 글을 쓰고 댓글을 달면 댓글이 글 바로 아래에 보이는 군요. 저렇게 하는 옵션이 있나요?
config.php에서 $blog_comments=1;이라는 옵션을 주시면 됩니다.
또 블로그 질문입니다. [[BlogChanges(all,summary,simple)]] 로 하면 바뀐 글들이 표시 되는데. all로 되어서 그런지 전체 블로그 글을 보여주더군요. 특정 페이지 이름을 all 대신 적어 넣으니 안되더군요. 특정 페이지의 블로그 글들만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pyrasis
제가 블로그를 잘 안쓰니 확인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나봅니다. 기억이 가물가물.. ^^;; --WkPark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습니다. header.php 와 footer.php 를 보면 모두 $menu란 변수가 쓰이는데, header에서는 대문|바뀐글|찾기 등으로 나오고, footer에서는 고치기|비슷한 글| 등등 식으로 나옵니다. 어떻게 $menu라는 변수들이 서로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나요? 그냥 궁금해서요.
이름만 같을 뿐 별개의 변수라서 그렇습니다. --WkPark
모니위키에 섹션별 편집기능 넣으실 생각 없으신가요? 특히 kldp에서 처럼 큰 문서를 다룰 때에는 유용할 것 같은데요. --DwYoon
적용했습니다. 1.1.0-20050409 -- WkPark
섹션 편집시 큰 섹션과 그것에 포함된 작은 섹션에 대한 고려가 없더군요. 그냥 섹션시작부터 다음 섹션시작 전까지 편집하는 것 같은데, 큰 섹션을 편집할 때에는 포함된 하위 섹션들도 같이 편집할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 -- DwYoon 2005-09-24 10:14:41
MediaWiki식으로 그렇게 고칠 수는 있겠지만, 섹션 편집이 왜 있는지 먼저 생각해보신다면, 그냥 딱 한단계 섹션 편집이 제일 간결한 구현이라서 그렇게 한것입니다. 서브섹션까지 편집하게 하면 충돌이 났을 때까지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한단계 섹션일 경우는 충돌날 확률이 훨씬 줄어들겠죠. 다시 말하면 현재의 구현은 충돌이 났을 때에 대한 고려가 없습니다). 이는 대대적인 refactoring이 불가피하고 생각보다 훨씬 고려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한 섹션만 편집하게 하는 것은 매우 간단한 수정으로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섹션편집은 마치 Comment달 듯, 간단한 편집을 하기에 편리하도록 만들었습니다. Subsection까지 모두 편집하시려면, 충돌도 검출해주는 edit를 쓰시길. --WkPark
script 로 캡쳐한 typescript 파일을 예쁘게 보여주는 vim syntax 가 있나요? -DwYoon
Moniwiki 한글 위키시드가 혹시 없나요? -DwYoon
찾아보셨겠지만 공식적으로는 없습니다. 잘 만들어진 문서들이 있긴 하지만 위키시드로 들어갈만한 위키에 대한 일반적인 이야기 보다는 모니위키에 한정된,설치 활용등등 뿐입니다. 위키씨드로 원하시는 내용은 무슨 내용인가요? 일반적인 위키위키 / 설치및 활용 ? --WkPark
위키위키를 회사에서 설치해서 쓰려고 하는데,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편집도움말이 영어로만 되어 있다는 것은 큰 장벽이 되는 것 같더군요. 모니위키에 편집도움말 만이라도 한국어 위키시드가 있으면 사람들이 조금 더 쉽게 위키에 접근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DwYoon
RSS 출력에서 본문을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는지요? 그리고 만약 있다면 노출방법에 있어서 본문을 그대로 하는 방법과 변경점을 노출하는 방법을 선택할수 있을까요? 그리고 다른 위키에서 보면 NameSpace 라는 것이 있던데 MoniWiki에도 이러한 분류방식을 사용할수 있을까요? 아니면 어떻게 하면 그와 흡사한 흉내를 낼수 있을까요? --minzkn
현재도 모니위키는 가상의 NameSpace를 지원하구요 (Page~SubPage 방식과 Page/SubPage 방식). cvs버전에는 real NameSpace가 추가되었습니다. 다만 현재 search등등에 대한 추가지원이 안됩니다. rss의 경우는
?action=rss_rc&diffs=1 는 지원합니다. diff말고 summary=1 을 붙이면 됩니다. -- WkPark 2008-04-24 12:10:43
답변 감사합니다. 한가지 더 질문이 있는데요. 특정 위키페이지의 내용을 다른 위키페이지에 인용하려고 할때 본문을 긁어서 붙여넣는 방법 말고 다른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online 상에서는 링크면 충분하지만 인쇄할때는 인용되어 보여지는게 편리하겠더군요. 그리고 링크를
아.. 쓰다가 정신이 없어서 원하는 페이지그룹에 대해 보여주는 기능은 없습니다 ![]() 인쇄용 css가 버그가 있는 것 같습니다... 긁어붙이는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요? Include같은 기능을 원하시는 것인지요? 구체적인 구현을 언급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WkPark 2008-04-24 14:26:56
![]() |
Money will say more in one moment than the most eloquent lover can in yea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