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DP.org · KLDP.net · KLDP Wiki · KLDP BBS ·
로마자표기법/토론

Hangul vs Hangeul

{{| from CategoryHangul DeleteMe CategoryHangeul 로 고치는게 어떨까요? 2000도에 개정된 한글 로마자표기법에 의한 한글 표기법은 Hangeul 입니다.. http://www.korean.go.kr |}}

아직 이 토론의 결론이 나지 않은 것인가요? 현재 KLDPWiki의 페이지들의 분류를 보니 한 페이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CategoryHangul 분류에 있더군요.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는 것도 무척 중요합니다만, CategoryHangul 이라고 사용해왔던 관례를 존중(?)해서 CategoryHangeul로 붙어있는 페이지를 CategoryHangul로 옮겼습니다. 동일한 내용을 갖는 분류를 두개나 유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혼동을 줄 수 있는 CategoryHangeul 페이지도 삭제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윤현호 2005-02-23


한글을 *Hangul*로 표기합시다 16 (59.26 %)
한글을 *Hangeul*로 표기합시다. 11 (40.74 %)
Total votes27

||[[Vote(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합시다 2, 로마자 표기법이 아닌 기존에 쓰던걸로 씁시다. 1)]]||

(2003-11-26) 현재 이 페이지에서 논점은 '한글'이라는 단어를 Hangeul로 쓸거냐 Hangul로 쓸 것이냐이지, KLDPWiki에서 WikiCategoryPageTitle에 한글로 된 단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현행 로마자 표기법을 따를 것이냐 말것이냐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현행 로마자 표기법 자체가 잘못되었으므로 따르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분은 안 계신 것 같습니다. 그런 분이 있으시다면 명확하게 의사 표시를 해 주시는게 필요한 듯 하고, 별도로 투표할만한 거리가 된다고 생각하면 그때 재개를 하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혼돈을 초래할 여지가 있는 문항은 잠정 중단하고 위 투표만을 가지고 진행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전 카운트는 제가 위에 합쳐뒀습니다.

애초에 논의가 시작된 이유가 '한글'을 어떻게 표기할 것이냐이기 때문에 가부간에 결론을 내고 CategoryHangul이나 CategoryHangeul 둘 가운데 하나로 정리를 하는게 일단 필요해 보입니다. 그게 아니라 KLDPWiki에서 일반적으로 로마자표기법을 따르자 말자라면 그게 간단히 투표로 정할 수 있는 문제인지는 조금 의문이군요. 페이지 제목이 로마자표기법이기 때문에 앞으로 혹시 다른 거리(?)가 생기면 추가적으로 더 얘길 할 수 있도록 섹션을 나누고 정리를 해뒀으니, 로마자표기법 전반에 대해 포괄적인 얘길 하고 싶으시다면 섹션을 추가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는 로마자표기법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반대한 적은 없습니다. --verotas

전 반대입니다. 로마자표기법은 어떻든지 간에, 영어에서 e앞에 g는 'ㅈ'발음이죠.
간혹 혼동하는 분이 계시는데 영어 표기법이 아니라, 로마자 표기법입니다. 영어 표기로 한다고 해도 hangul은 완벽하게 영어 표기로 된 것이 아닙니다. hangŭl 로 쓰고 싶습니까?
그래도 영어에 익숙한 눈으로 Hangeul을 보면 '한줄'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영어 단어에서 ge의 g가 /ㅈ/ 역할을 한다고는 하지만, /ㄱ/ 발음으로 나는 경우도 있긴 있습니다. Finger, bigger는 논외로 하더라도 gear, geek, get 등이 있죠.

http://www.hangeul.or.kr/24.htm 을 보니, 로마자표기법대로 쓴다면 hangeul이 맞습니다. 참고로, http://hangeul.or.kr 은 한글학회, http://hangul.or.kr 은 한글재단. 로마자표기법대로 한다면 제가 쓰는 영어필명도 sebul이 아닌 sebeol로 써야 맞습니다만, 그냥 sebul로 버티려고 합니다. 삼성도 samseong 아닌 samsung으로 쓰고 있죠. --세벌

이전 표기법에 맞춰 써왔고 이런저런 문서나 소스에 박혀있어서 익숙해진 hangul이 맞느냐 새 표기법에 맞춰 hangeul로 하는게 맞냐라는 문제라면 이건 "정답"이 있는 건 아닌 듯합니다. 2000년도 개정 한글 로마자표기법 덕분에 십 년도 넘게 써오던 이름 표기를 바꿔야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저도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이고요. 그렇지만 지금 중고등학교 다니는 사람들은 자기 이름을 새 표준에 맞게 쓰겠죠. 앞으로 20년 안에 다시 바뀌지 않길 바래야 겠지만... 제 의견은 '아직은 좀 이르다' 입니다. hangul로 해뒀다가, 좀 지나서 hangeul로 많이들 쓰게 되면 그때 바꾸죠 :-) --verotas

저는 로마자표기법대로 써야 한다고 보는데요.. 이전에는 확실하고 명확한 표기법이 없어서 많은 혼란이 있었습니다.. 이것 때문에 속이 상했기도 했는데요. 독립의사중에 안중근을 로마자로 쓴다면 여러분을 어떻게 쓰시겠습니까?

An Jung-geun(An Junggeun) 이라고 써야 합니다.. 이전에는 사람마다 표기하는게 달라서 엄청난 혼동이 있었으며, 외국인이 봤을 경우에는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엄청난 혼란이 있어 왔습니다.

이전에는 Ahn Joong Kun 라고 쓰는 사람도 있었고 Ahn JoongKŭn , An Jung Gun, An JoongKeun 등등.. 사람마다 안중근이라는 사람 이름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는 바람에 외국인이 봤을 경우 다른 사람으로 착각하는 웃지못할 일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2005년까지 국가기관, 도로게시판, 지역명등을 2000년에 개정된 대로 전부 바뀌게 됩니다. hotmail 가입할때 보이는 지역명도 이미 개정법 대로 바뀌었더군요 :)

그리고 로마자표기법 전문을 읽어보신분은 알겠지만, 내가 예전부터 써왔던 로마자 이름을 로마자표기 개정법대로 바꾸지 않아도 됩니다. 그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000년 개정 로마자표기법이 나오기까지 전국을 돌며 수많은 공청회가 있었으며, 많은 언어학자들이 참가하고 논의를 거쳐 나온게 로마자표기법입니다. 물론 반대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한글을 영어에 완벽히 맞춘다는것을 불가능 합니다. 모음표기를 봐도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옛날 진시황이 도량형이나 그런 것들을 왜 통일 했겠습니까? 표준은 왜 있는 겁니까? ANSI C가 왜 있겠습니까? POSIX 가 왜 있을까요. 어떠한 것이든 명확한 Rule 이 있어야 겠죠. --아무개

저는 로마자표기법대로 써야 한다고 보는데요.

표준대로 하지 말자는 얘기가 아닙니다. 이름 로마자 표기를 개정 표기법 대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는 예외조항은 이전 (1987년 ) 표기법에도 있었습니다. 고유명사에 대해 관행상 써오던 표기를 바꾸지 않아도 된다는 조항이지요. 그래서 같은 박 씨 성을 가진 박세리와 박찬호가 각각 Pak / Park 을 써서 서로 다른 성으로 오인받는 일도 생기지만, 둘 다 "표준"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박 씨 성을 Park으로 적는 것만큼이나 한글을 Hangul로 적는 것도 관례에 가깝습니다.

이전에는 확실하고 명확한 표기법이 없어서 많은 혼란이 있었습니다.

이전 표기법이 덜 확실하고 덜 명확해서 문제가 된게 아닙니다. 2000년 개정 표기법도 1987년 당시에 강력하게 제기됐던 다른 방안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다만 시간이 흐르면서 전산화 관련된 여러가지 환경 변화라든가 기타등등 이유로 인해 채택되지 않았던 표기법이 다시 표준이 된 것 뿐입니다. 조금더 거슬러 올라가면 그 이전 (1959년) 표기법은 오히려 현재 표기법과 더 비슷합니다. 즉 A' -> B -> A 같은 방식으로 변화가 있었다는 거지요. 저는 여기서 A 방식이 더 옳으냐 B 방식이 더 옳으냐를 논하자는게 아닙니다만, 분명한 것은 이전에 "확실하고 명확한 표기법이 없"지는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 표기법에 따르면 (적어도 컴퓨터에서) 한글을 hangul로 적는게 표준이었습니다. 그리고 이걸 새 표준에 맞게 바꾸는 것은 시간이 걸린다는 얘길 하고 싶었던 겁니다.

지금부터 만드는 자료들에는 가능하면 hangeul로 쓰는게 좋겠지요. 그렇지만 아시다시피 어떤 경우에는 새로운 표준에 맞춰 고치는 것도 필요하지만 과거와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경우가 왕왕 생기게 마련입니다. 한글 관련된 대표적인 프로그램 소스 몇 가지만 보셔도 제 얘기가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실 겁니다. 한텀, 아미, 나비, 기타등등 프로그램에 한글 관련된 소스는 죄다 hangul.c hangul.h 로 돼 있습니다. 아니면 유니코드 문서를 한 번 살펴보셔도 됩니다.

자 그러면 여기서 선택을 해야겠지요. CategoryHangul이냐 CategoryHangeul이냐. 여기에 쉽고도 간단한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Hangul 말고 다른 한글 단어를 로마자로 표기해야하는 경우가 앞으로 얼마나 생길지 잘 모르겠지만, KLDPWiki에서 일반적인 룰을 어떻게 정할 것이냐는 또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verotas


저는 로마자 표기법에는 이의를 달지 않지만, 기존에 잘 쓰던 혹은 관례화 된 표기법까지 바꿀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verotas님과 같은 의견인 것 같네요 ^^ --WkPark


별 효력없는 자료지만, 2004년 1월 현재 google에서 검색해 본 결과 hangul엔 193000 페이지, hangeul엔 15800 페이지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PuzzletChung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엔 로마자 표기법이 안정되어 있는거 같습니다. 그 이유로는 아마도 IME 때문인거 같습니다. 일본이나 중국의 글자를 입력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 로마자로 발음을 표기해서 입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와는 실정이 다른거 같습니다. --- geummo




ID
Password
Join
Economy makes men independent.


sponsored by andamiro
sponsored by cdnetworks
sponsored by HP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06-09-20 01:19:51
Processing time 0.0066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