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DP.org · KLDP.net · KLDP Wiki · KLDP BBS ·
네트워킹

1. 일반 문서

2. 네트워크 활용

2.1. 인터넷 접속하기

  • [http]Linux Gazette 26호 (권순선, 오태호, 강준명)
    집안/사무실에서 네트웍을 구축하는 방법

2.1.1. ADSL

  • [http]한통 ADSL (임은재)
    한통 adsl 연결

  • 한국통신 ADSL (이재광, 정순철)
    리눅스를 이용하여 한국통신 ADSL을 이용하는 방법. 현재 한국통신 ADSL은 전화국에 따라 환경이 조금씩 다르므로 이 방법을 적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http]한국통신 ADSL 사용하기 (송노현)
    한국통신 ADSL을 사용하는 방법을 따라하기식으로 기술

  • ADSL mini HOWTO (권태준)
    리눅스에서 비대칭 가입자 선로(ADSL)을 사용하는 방법

  • [http]하나로 외장형 ADSL 사용하기 (류태중, 장진엽)
    하나로 외장형 ADSL 장비를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방법

2.1.2. 인공위성

2.1.3. PLIP

  • [http]PLIP mini HOWTO (김명운)
    PLIP는 리눅스에서 병렬포트(프린터 포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킹을 할수있는 재미있는 기술입니다

2.1.4. PPP

  • Dip+SLiRP+CSLIP mini HOWTO (김광찬, 구광효)
    예전에 모뎀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던 SLIP에 관한 설명입니다

  • 리눅스에서 Diald를 사용하여 ISDN라우터 만들기 (김기수, 정순철)
    Diald를 이용하여 ISDN이나 모뎀을 통한 인터넷 연결방법과 다른 PC들과 회선을 공유하는 방법

  • ISP-Hookup HOWTO (이기동)
    모뎀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PPP를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방법

  • PPP HOWTO (김창한, 김병찬)
    모뎀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PPP를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방법

2.1.5. ISDN

  • PPP-over-ISDN mini HOWTO (정용석)
    ISDN에서 PPP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

  • [http]ISDN on Linux (김기수)
    ISDN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다른 PC들과 인터넷 접속을 공유하는 방법

2.2. 이기종 시스템 연결

3. 네트워크 장치

3.1. 이더넷(Ethernet)

3.2. 모뎀(modem)

  • Winmodems and Linux HOWTO (정진하)
    리눅스에서 윈모뎀(Winmodem)을 사용하는 방법

  • [http]Seyon 도움말 (이상국)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신 프로그램인 세연(Seyon)에 관한 글

  • mgetty 매뉴얼 (윤주영)
    DATA/FAX 모뎀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인 mgetty에 관한 설명

  • Cable Modem mini HOWTO (박근덕)
    리눅스에서 케이블 모뎀을 사용하는 방법.

4. 네트워크 프로토콜

  • Linux Mobile IPv6 HOWTO (김영민)
    리눅스에서 모바일 IPv6를 설치하고 사용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들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설명

4.1. SSH

4.2. 전자우편(E-Mail)

4.3. DHCP

  • DHCP mini-HOWTO (DHCPd/DHCPcd) (심상현)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인 DHCP를 이용하는 방법. DHCP를 이용하면 호스트에 IP어드레스를 자동으로 부여할 수 있습니다.

  • DHCPd mini HOWTO (심상현)
    DHCPd를 사용하기 위한 간략한 정보와 내용

4.4. VoIP

  • VoIP HOWTO (조지완)
    Voice over IP의 개념과 작동원리

4.5. Usenet 뉴스그룹

  • [http]SLRN KLDP (이기동)
    뉴스리더인 slrn의 매뉴얼 페이지 번역

4.6. IPX

  • IPX HOWTO (박철민)
    커널의 IPX 지원 기능을 이용하는 환경설정 툴과 설치방법

4.7. UUCP

  • UUCP HOWTO (최윤나)
    리눅스에서 UUCP(Unix to Unix Copy)를 이용하는 방법

4.8. RDP

  • 리눅스 컴퓨터에서 윈도우즈 컴퓨터로 원격 데스크탑 연결하는 방법 (rdesktop 사용법)

5.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Libpcap 사용하기 (노광민)
    공개된 패킷 캡처 라이브러리인 libpcap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패킷을 분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

  • [http]Raw IP Networking FAQ (김성윤, 안창선)
    Raw socket, packet capturing 등에 대한 빈번한 질문과 답

  • [http]Beej's Guide to Network Programming (박성호)
    유닉스/리눅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소켓 프로그래밍) 안내 문서입니다.

  • [http]C 소켓 프로그래밍 FAQ (김한수, 여러분)
    유닉스/리눅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잦은 질문과 답변

5.1. 웹 프로그래밍

  • APM tip (김용일)
    apache, php/perl, mysql 팁 모음

5.1.1. PHP

5.1.2. JSP

  • Tomcat (주효식)
    JSP 환경을 지원하는 Servlet Container인 Tomcat, Cocoon의 소개와 설치 방법

  • Java Servlet (황성준, 윤형렬, 정순철)
    아파치 웹서버에서 자바 서블릿(JSP)을 이용하는 방법

  • JServ PostgreSQL 연동 (주효식)
    아파치+JServ로 구축된 웹서버에 PostgreSQL을 연동하는 방법.

  • GNU JSP 설치 (김민식)
    GNU JSP를 소스로부터 컴파일하여 설치하는 방법

  • JServ (김민식)
    JServ를 소스로부터 설치하는 방법

  • [http]JSDK, JServ (김진덕)
    리눅스에서 JSDK, JServ를 설치하고 사용 환경 설정하기

6. 네트워크 구축, 관리

6.1. 네트워크 구축

  • Bridge mini HOWTO (차한진, 박근오)
    이더넷 브릿지를 설정하는 방법. 이더넷 브릿지는 서브넷 내의 데이터 패킷들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 IP Subnetworking mini HOWTO (정재영)
    리눅스 네트워크환경에서 서브넷을 이용하는 이유와 방법.

  • IP Alias mini HOWTO (김융영, 정정화, 엄기성)
    하나의 네트웍 디바이스에 여러 개의 IP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방법

6.1.1. IP Masquerade

  • Masquerading Simple HOWTO (서정민, 정윤조)
    리눅스 호스트에서 IP Masquerade 기능을 적용하는 간단한 방법

  • 리눅스 2.4 NAT HOWTO (김상훈, 한성주)
    리눅스 커널 2.4에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기능 사용하기

  • IP Masquerade HOWTO (양연형)
    IP 마스커레이드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의 한 형태로, 리눅스 box에 연결된 한개의 인터넷 IP 주소를 통해서 등록된 IP 주소가 없는 내부의 컴퓨터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 IP Masquerade mini HOWTO (김도석, 김병찬, 황성민)
    리눅스를 통하여 IP 어드레스가 없는 호스트를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기술

6.1.2. 라우터

  • [http]Linux Gazette 25호 (권순선)
    리눅스 사용상의 팁 몇 가지와 라우팅에 관련된 이야기들을 골라서 번역하였습니다.

6.2. 네트워크 관리

6.3. 보안


7. 서버 운영

7.1. 웹 서버

7.2. 메일 서버

  • sendmail 이야기 (장우현)
    MTA중의 하나인(하지만 가장 유명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sendmail에 관한 얘기

  • sendmail address rewriting mini-HOWTO (정재영)
    집에서 dial-up을 통해 인터넷에 엑세스하는 사용자를 위해 sendmail을 설정하는 방법

  • Sendmail에서 DRAC를 이용한 Dynamic Relay(RedHat 7.0) (허창영)
    Sendmail 하에서 access파일과 DRAC(Dynamic Relay Autohrization Control)를 이용한 동적 릴레이 설정과 그 이용

  • qmail-HOWTO (방창현, 임은재)
    메일전송 에이전트인 큐메일을 어떻게 설치하고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설명

  • QMAIL로 메일서버 구축하기 (메일 forwarding 과 pop3설정까지) (정계옥, 문상준)
    따라하기만 하면 바로 될 수 있는 qmail 설치 매뉴얼

  • 큐메일 + MySQL + IMP 설치 따라하기 (김세호)
    메일전송 에이전트인 큐메일과 메일유저 에이전트와 인터페이스를 하는 IMAP을 어떻게 설치하였는지에 대한 설치기

  • 큐메일과 삶 (윤주영)
    이메일 MTA중 하나인 qmail을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

  • [http]qmail + vpopmail (임은재)
    sendmail을 대체하는 메일 전송 에이전트(MTA)인 qmail과 가상 도메인 POP 메일을 쉽게 관리할수 있는 vpopmail과 qmailadmin의 설치, 운영에 대한 글

  • [http]Qmail 설치 가이드 (임은재)
    the Internet's MTA of choice / 강력한 메일 전송 에이전트(MTA) qmail의 설치 가이드

  • Linux Mail-Queue mini-HOWTO (조지완)
    외부 메일을 큐에 쌓아두고 로컬 메일을 전송하는 법

  • Postfix + SASL HOWTO (신종훈)
    sendmail의 대안으로, 간단한 설정과 관리가 강점으로 작용하는 메일 전송 에이전트(MTA)인 Postfix의 설치와, SASL을 이용하여 SMTP 인증(Authentication)을 서비스하고 관리하는것에 대한 가이드

  • Using POP3, SMTP with SSL (양정석)
    POP3, SMTP 서비스를 SSL 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요약.

7.3. 메일링 리스트

  • GNU Mailman (서준원)
    웹기반 메일링 리스트 매니저인 Mailman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

  • Majordomo 하우투 (심상현)
    메일링 리스트에 관한 간략한 정보와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메일링 리스트 매니저인 Majordomo를 설치, 운영하는 방법

  • Majordomo User 하우투 (심상현)
    메일링 리스트에 가입한 가입자들의 효과적인 메일링 리스트 사용에 관한 문서. 메일링 리스트 관리자들에게도 역시 유용합니다

7.4. 네임 서버(DNS)

7.5. 스트리밍 서비스

  • [http]Icecast 사용법 (최민성)
    Icecast를 사용하여 인터넷 라디오 방송하기

  • [http]Internet Radio (이광우)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현하게 해주는 Icecast, Shout, Liveice 등의 설치, 사용 방법

  • [http]Icecast 사용하기 (최정우)
    icecast를 사용하여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 개국하기


7.6. FTP 서버

  • [http]ProFTPd Reference (김정균)
    ProFTPd의 설정 파일에 사용되는 지시자들의 의미

  • FTP mini-HOWTO (이호연)
    FTP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사용하는 법

  • Wu-FTPd manual page
    이 문서는 Wu-ftpd의 manual page를 번역한 것이다.

7.7. 프록시 서버

7.8. CD 서버

  • CDServer HOWTO (임은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들과 CD를 공유할 수 있는 CD서버의 구축

7.9. LDAP

  • LDAP HOWTO (서정룡)
    LDAP 서버를 설정하고 사용, 관리하는 방법
  • LDAP을 이용한 계정통합, 각종 애플리케이션 연동 (문태준)
    LDAP을 이용한 계정통합, 이메일클라이언트(주소록)연동. openldap을 이용하여 계정통합을 하는 부분에 대한 자료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문서는 거기에 TLS 암호화 통신, 각호스트별 접속 제한, 이메일클라이언트 연동을 통한 주소록기능 등의 내용을 더 추가하였습니다.
  • [http] LDAP의 모든것 ver2 (문태준)
    이 문서는 http://database.sarang.net ldap 튜토리얼에 있는 "LDAP의 모든것 ver 20011126" (박근오님 작성) 문서를 기초로 하여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LDAP이란 무엇인가로부터 시작하여 LDAP에 대한 전체적인 사용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7.10. NFS NIS

  • Automount mini HOWTO (경제범, 나상호, 김명운)
    autofs automounter 에 대한 설명 및 설정

  • Debian NIS (이범석)
    완전 공개 배포본인 데비안(Debian) 리눅스에서 NIS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 레드햇 등의 다른 배포본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참고할 수 있을 것입니다

  • NFS를 통한 루트 마운트 (차현진)
    NFS를 통한 루트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nfsroot)

  • NIS HOWTO (김형찬, 공문헌)
    리눅스에서 NIS(YP), 혹은 YP 클라이언트를 설정하는 방법과 NIS서버를 설치하는 방법

  • NFS Root mini HOWTO (정순철)
    디스크 없는 리눅스 박스 설정하기

  • [http]Linux Gazette 24호 (권순선)
    리눅스 사용상의 팁 몇 가지와 리눅스를 PDC 또는 NIS/NIS+ 마스터 서버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 등을 골라서 번역하였습니다

7.11. rsync

  • [http]rsync 설정 (문태준)
    호스트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rsync 설정, 사용법

7.12. 팩스 서버

7.13. 뉴스 서버

  • [http]News Leafsite mini HOWTO (이성수)
    leafnode를 사용하여 소규모 뉴스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

  • [http]Leafnode-KLDP (차리서)
    소규모 뉴스 서버를 구축할 수 있는 leafnode의 매뉴얼 페이지 번역

7.14. 멀티캐스트

7.15. DHCP서버

8. 슈퍼컴퓨터와 병렬처리

  • HPC Linux Cluster HOWTO (이진호)
    동일 기종 간의 클러스터를 통하여 병렬처리 방식의 슈퍼컴퓨터를 제작하는 방법

  • Diskless Cluster using RedHat9.0 + OpenMosix (김동희)
    서로 다른 2 대로 이루어진 Diskless Cluster 제작방법

  • Beowulf FAQ (양유성)
    Beowulf 메일링 리스트에서 자주 질문되는 내용

  • Beowulf HOWTO (박재성)
    리눅스를 이용한 베오울프 슈퍼컴퓨터 구조를 소개하고 병렬 프로그래밍의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합니다.

  • COCOA Beowulf Cluster FAQ (양유성)
    Beowulf류의 수퍼컴퓨터를 만들고자 할 때 필요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 Beowulf Installation and Administration HOWTO (양유성)
    운영체제의 설치와 유지에 초점을 맞춘 Beowulf 클러스터 구축 & 유지 방법

  • Parallel Processing HOWTO (선정필, 이호)
    리눅스 병렬처리 하우투. 이 문서는 리눅스 사용자들이 적용할 수 있는 네가지 병렬처리 방법을 다룹니다.

  • Cluster 퀵스타트 (양유성, 신동원)
    리눅스로 구축하는 베오울프 클러스터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기반지식과 설치 방법 안내

  • [http]Home Supercomputing (양성룡)
    집에서 구축하는 베오울프 클러스터

  • [http]Beowulf Cluster (박정환)
    리눅스를 이용한 Beowulf 클러스터 구성 경험담. Beowulf 클러스터링은 리눅스를 대용량, 초고속의 병렬처리 시스템으로 만들어 주는 재미있는 기술입니다.

  • [http]Avalon FAQ (심마로)
    아발론 클러스터에 대해 궁금한 사항들. 아발론(Avalon) 클러스터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초고속 병렬처리 시스템입니다


ID
Password
Join
Mistakes are oft the stepping stones to failure.


sponsored by andamiro
sponsored by cdnetworks
sponsored by HP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0-09-22 00:18:06
Processing time 0.0338 sec